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전문가 "폐쇄기간이 관건"
입력
수정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돌입 소식에 코스피지수가 출렁였다. 전문가들은 미 연방정부의 폐쇄기간이 3일 이상 지속될 경우 추가 조정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1일 오후 2시 13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9포인트(0.11%) 오른 1999.15를 나타내고 있다. 장 초반 셧다운 우려 고조에도 견조한 흐름을 보였던 코스피지수는 미 연방정부 폐쇄가 확정되자 상승 폭을 대부분 반납하고 2000선 밑으로 미끄러졌다.미 연방정부의 내년 예산안 처리 마감 시한을 앞두고 공화당과 민주당은 벼랑끝 협상을 시도했지만 끝내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무산됐다. '오바마케어'를 둘러싼 의견 차이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미 연방정부는 1일(현지시각) 오전 0시1분부터 셧다운에 돌입했다. 미국 연방정부 폐쇄는 1995년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이래 17년 만이다. 정부 부처별 '필수 업무(국방·치안·소방 등)' 이외의 업무 서비스가 일시 중단된다. 80만명 정도의 공무원은 무급휴가를 받게 된다.
전문가들은 미 연방정부 폐쇄기간이 향후 국내 증시 방향성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폐쇄기간이 3일 이상 지속돼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국내 증시도 단기 패닉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오태동 LIG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연방정부 폐쇄가 3일 이내로 일단락될 경우 과거의 학습효과 때문에 조정 폭이 크지 않겠지만 3일 이상 지속될 경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사태 해결이 늦어질 경우 향후 2~3주내 합의를 봐야 하는 부채한도 상한 조정도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아 미국 연방정부는 사상 초유의 국가 부도 사태를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증권 투자컨설팅센터는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미 의회가 내년 예산안 처리 불발에 이어 부채한도 상향 조정에도 실패할 경우 국내 증시 변동성은 추가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정혁현 기자 chh03@hankyung.com
1일 오후 2시 13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9포인트(0.11%) 오른 1999.15를 나타내고 있다. 장 초반 셧다운 우려 고조에도 견조한 흐름을 보였던 코스피지수는 미 연방정부 폐쇄가 확정되자 상승 폭을 대부분 반납하고 2000선 밑으로 미끄러졌다.미 연방정부의 내년 예산안 처리 마감 시한을 앞두고 공화당과 민주당은 벼랑끝 협상을 시도했지만 끝내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무산됐다. '오바마케어'를 둘러싼 의견 차이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미 연방정부는 1일(현지시각) 오전 0시1분부터 셧다운에 돌입했다. 미국 연방정부 폐쇄는 1995년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이래 17년 만이다. 정부 부처별 '필수 업무(국방·치안·소방 등)' 이외의 업무 서비스가 일시 중단된다. 80만명 정도의 공무원은 무급휴가를 받게 된다.
전문가들은 미 연방정부 폐쇄기간이 향후 국내 증시 방향성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폐쇄기간이 3일 이상 지속돼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국내 증시도 단기 패닉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오태동 LIG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연방정부 폐쇄가 3일 이내로 일단락될 경우 과거의 학습효과 때문에 조정 폭이 크지 않겠지만 3일 이상 지속될 경우 위험하다"고 말했다.
사태 해결이 늦어질 경우 향후 2~3주내 합의를 봐야 하는 부채한도 상한 조정도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아 미국 연방정부는 사상 초유의 국가 부도 사태를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증권 투자컨설팅센터는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미 의회가 내년 예산안 처리 불발에 이어 부채한도 상향 조정에도 실패할 경우 국내 증시 변동성은 추가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정혁현 기자 chh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