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권 선진 대표 "돼지고기, 고급화 승부…아시아 6개국에 17개 사료공장"
입력
수정
지면A21

이범권 선진 대표(사진)는 1일 둔촌동에 있는 선진 서울사무소에서 기자와 만나 “자유무역 확대로 외국산 돼지고기와 경쟁을 벌이게 되는 만큼 사육 마릿수를 줄여 가격을 보전하는 1차원적 방식으로는 산업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선진은 사료부터 육가공제조업까지 돼지고기와 관련된 15개 회사를 계열화해 운영하고 있다. 이 대표는 “돼지들을 작은 축사에 몰아넣어 생산하는 방식을 버리고 정상적인 사육 환경을 조성하면 출하 마릿수가 줄어드는 동시에 좋은 품질도 확보할 수 있다”며 “수입 돼지고기에 맞서기 위해 가격이 아닌 품질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기업의 양돈업 진출을 막아야 한다는 대한한돈협회 측 주장에 대해서는 “대기업이 경영하는 양돈농가는 전체의 10%에 불과하다”며 “계열화된 대기업이 저렴한 가격으로 농가에 필요한 어미돼지와 사료 등을 일괄 공급하면 안정적인 경영이 가능해진다”고 덧붙였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