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록 초안 표제부만 삭제…기록관에 안옮긴 이유 모른다"
입력
수정
지면A31
참여정부 인사들 첫 공식입장“당연히 대통령기록관에 있으리라 생각했던 대화록이 이관되지 않았다니 우리도 갑갑합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노무현 정부 핵심 관계자들도 명확한 이유를 내놓지 못해 논란이 예상된다. “대통령기록관 이관 기록에 대화록이 없었는데 봉하 이지원에서 삭제본을 복구했다”는 검찰의 중간수사 결과를 반박하면서도 최종본이 이관되지 않은 이유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 것이다.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 법무비서관을 각각 지낸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사진), 박성수 변호사 등은 9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고검에서 첫 공식 설명회를 갖고 “최종본이 왜 이관되지 않았는지 우리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이관되지 않은 경위를 뚜렷하게 해명하진 못했지만 검찰이 봉하 이지원에서 발견했다는 삭제본에 대한 입장은 강경했다. 이들은 “이지원 담당자들에게 확인한 결과 이지원에는 삭제 기능이 없어서 당시 이관 대상 문서를 재분류하면서 목록만 삭제했다고 하더라”며 “문서작성자, 제목 등을 표시한 표제부만 삭제한 것일 뿐 파일 자체를 지운 게 아닌데 검찰이 도대체 뭘 복구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초안이 표제 부분만 삭제된 채 남겨졌다 그 상태로 봉하 이지원에 복사, 목록만 삭제된 초안이 이지원에 남게 된 것”이라고 거듭 주장하고 있어 노무현 정부 관계자들을 상대로 한 검찰의 소환조사 과정에서 양측 입장이 갈릴 전망이다. 이들은 대화록 녹취를 푼 ‘초안’과 이를 소폭 수정한 ‘최종본’의 차이에 대해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초반에 녹취가 제대로 안 된 부분, 녹취를 풀면서 오류가 생긴 부분 등을 수정·보완하라고 지시, 당시 회담에 배석했던 조명균 안보정책비서관이 자신이 한 메모와 기억에 의지해 오류를 수정했다”며 “외교상 관례로 정상회담 시 노 전 대통령이 자신을 ‘저’라고 낮춰 부른 표현 등을 자연스럽게 다듬은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검찰은 “미이관 경위 등은 과학적 입증을 통해 수사 결과를 발표할 때 밝히겠다”는 입장만 내놓았을 뿐 이날 간담회에 대한 공식 대응을 자제했다.
김선주 기자 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