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후 5년…한국기업 체력 바닥

삼성경제硏 분석

2011년부터 매출 성장세 꺾여
영업이익률 日에 역전당해
‘위기일수록 빛나던 한국 기업의 저력, 어디로 갔나.’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국내 기업의 체력이 급속히 소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성장률이 급락하고 영업이익률은 일본에 역전당하는 등 이상 징후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각각 5년간 기업성적표를 비교한 결과다. 경고음이 계속 울렸지만 한국 경제의 ‘위기불감증’은 이를 그냥 지나쳤다. ◆위기 3년도 안 돼 ‘녹다운’

삼성경제연구소는 16일 ‘위기 후 5년 한국 기업경영의 현주소’란 보고서에서 “국내 기업의 경영실적이 2011년부터 계속 악화했다”며 “과거 외환위기 후 5년간 견조한 실적을 보이며 위기를 극복했던 것과 대조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한국 기업은 그동안 위기에 강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5년차였던 2002년, 기업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2%(비교 가능한 734개 상장 기업 기준)로 1997년(6.3%) 수준을 웃돌았다. 김성표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외환위기 충격은 매우 컸지만 회복 속도는 빨랐다”며 “정부와 기업 모두 고강도 대응으로 위기를 극복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는 달랐다. 2010년 매출액영업이익률은 7.4%로 위기 직전인 2007년 7.1% 수준을 회복하는 듯했다. 하지만 이후 2년 연속 내리막을 타더니 지난해엔 위기 한가운데 있던 2008년(5.6%)보다 못한 5.2%에 머물렀다.

◆미국 일본 앞서가는데

물론 금융불안을 겪고 있는 인도 등 다른 신흥국보다는 낫다. 정부는 국내 기업의 강한 체력을 강조하고 있고, 외국인도 이날까지 34일 연속 국내 주식을 순매수했다. 불안한 것은 경쟁 관계인 미국 일본 기업들과 달리 국내 기업의 후퇴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다. 김 연구원은 “국내 기업은 외환위기 경험과 수익 중심 경영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였다가 금방 체력이 소진된 것 같다”며 “지난해 영업이익률(5.2%)이 일본 기업(5.8%)에 역전된 건 위험 신호”라고 설명했다. 이런 후퇴는 한동안 지속된 ‘환율 효과’가 사라진 탓도 있다. 2008년 1월 이후 1년 만에 원·달러 환율은 45% 급등(원화가치 절하)했다. 해외에서 올린 실적을 원화로 환산하면 실적이 그만큼 부풀려진 것이다. 이런 환율 효과를 제거하면 2009년 한국 기업은 4% 마이너스 성장한 셈이 된다.

세계 경제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수출 기업의 실적 회복세가 특히 더디다. 지난해 전기전자 기업(524개 상장사)의 매출증가율은 11.3%였지만 삼성전자 등 3개사를 제외하면 오히려 감소했다.

◆경영 자세가 달라졌다 기업들의 ‘정신력’도 예전 같지 않다. 경영환경이 불확실해지자 기업들은 급격한 변화보다 충격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했다. 신규 사업 진출을 검토 중인 기업 비중은 2007년 6.6%에서 2011년 4.0%로 떨어졌고, 올해 상반기 해외 직접투자는 전년 동기보다 23% 급감했다. 위기 이후 5년이 지났지만 기업들이 미래를 위한 투자는 꺼리고 있는 것이다.

기업들이 몸을 사리는 데는 사회 분위기도 크게 작용했다. 금융위기 이후 사외이사 비중이 늘어나는 등 기업 감시가 강화됐다. 펀드·연금의 경영 참여도 활발해졌다. 이는 의사결정시스템을 투명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위기 극복의 원동력이 될 투자활동엔 걸림돌이 됐다. 유병규 국민경제자문회의 지원단장은 “외환위기 때와 달리 기업의 심리 자체가 위축돼 있다”며 “시장에서 우려하는 경제민주화에 대해 더 많은 토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