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 마약상 취급…다 때려치고 이민가자"
입력
수정
지면A1
문규학 소프트뱅크코리아 대표 '격정 트윗'

게임을 마약 술 도박 같은 중독 물질로 규정한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의 ‘중독 예방·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일명 중독법)을 두고 문규학 소프트뱅크코리아 대표(사진)가 지난 29일 트위터를 통해 독설을 날렸다. 그는 “인류가 창조한 모든 게임은 중독적인 요소가 없으면 존재할 수 없고 나도 어린 시절 딱지치기에 중독돼 밤잠을 설친 적이 많다”며 “세상 어느 곳에도 게임 세금이라는 것은 없다. 진정 창조경제 화두는 ‘창조적 삥뜯기’로 클라이맥스로 치닫는 것일까?”라고 했다.
2002년부터 소프트뱅크코리아와 벤처투자 회사인 소프트뱅크벤처스를 이끌고 있는 문 대표는 국내 정보기술(IT) 업계에서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다. 1988년 고려대를 졸업한 뒤 삼보컴퓨터를 거쳐 1996년 미국에서 유학하다 미국 소프트뱅크테크놀로지벤처스에 입사하면서 일본 소프트뱅크와 인연을 맺었다.

가까스로 봉합돼 가던 게임업계와 정치권의 갈등은 지난 10월 초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게임을 4대 중독 물질로 규정하고 “이 사회를 악에서 구해야 된다”고 발언하면서 다시 불거졌다.
게임회사들의 모임인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는 “중독법은 대한민국 게임산업에 대한 사망선고”라며 홈페이지에 조기를 걸었고 중독법 반대를 위한 온라인 서명에는 현재 7만2526명이 참여했다. 31일 국회에서 열린 4대 중독관리법 공청회에서도 게임업계는 게임을 마약 술 도박과는 다른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인정해주기 바랐지만 신 의원 등은 산업을 규제하는 것이 아닌 중독 문제만을 해결하는 것이라며 법안 강행을 시사했다.
게임업계는 “우리 10만 게임산업인은 마약 제조업자가 아니다”며 “여성가족부에 이어 보건복지부까지 규제 권한을 갖겠다고 밥그릇 싸움을 하는 모습에 깊은 환멸을 느낀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