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칼럼]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이룬 대한민국

반세기 만에 일군 기록적 민족중흥
일각의 국가정통성 부정 안타까워
비판·저항만으론 富國 못 만들어

김종석 홍익대 경영대학장·경제학
1960~70년대엔 행사 때마다 애국가 제창과 함께 국민교육헌장이라는 것을 외워야 했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도 중년 이상의 많은 국민들이 국민교육헌장을 잘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특히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로 시작되는 첫 문장은 하도 많이 외워서 평생 잊을 수 없다.

당시 학생이던 필자는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도 잘 모르면서 외워야 한다니까 외우고 써 있는 대로 읽었지만, 40여년이 지난 지금 그 첫 문장의 의미를 새삼 느끼게 된다. 내가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동안 대한민국이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이뤘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1948년 대한민국 건국 당시 한국인의 생활은 일제 치하였던 1941년 수준에 불과했다. 1950년대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100달러 미만으로 정부 재정의 절반 이상을 선진국 원조에 의존해야 했다. 아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고 경제적으로 자립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였다. 그랬던 대한민국이 지금은 2만달러 국민소득을 달성하고 세계 10대 무역 규모를 가진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100여개 나라 중 사실상 선진국 문턱에 다가선 나라는 대한민국뿐이다. 전 세계에 일류상품을 수출하고, 개도국에 원조를 주며, 올림픽과 월드컵을 개최했고,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하고, 한류 문화를 전 세계에 퍼뜨리고 있다.

물론 아직도 갈 길이 멀고, 비록 남쪽 절반만의 성공이지만 5000년 민족사에서 한민족이 지금과 같은 번영과 국력을 누린 적이 있었나 싶다. 단군 이래 절대빈곤을 탈출하고 자유와 번영을 누리면서 국제질서의 주류에 합류한 첫 세대가 지금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우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우리를 이렇게 만들었나. 의외로 그 해답은 간단하다. 똑같은 유전자를 물려받았고, 5000년간 같은 전통문화와 언어를 가졌던 하나의 민족이 1948년부터 완전히 다른 두 체제 속에 60여년을 살았다. 그 어떤 사회과학적 실험도 이렇게 완벽한 시뮬레이션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지금 우리가 보는 대로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경제적 성공 비결이 시장경제체제라는 점에 의문의 여지가 없다. 똑같은 문화와 역사, 유전자를 물려받은 남북한 사이에 존재하는 지금의 모든 격차는 오로지 후천적으로 부과된 체제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헌법상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혼란과 빈곤을 면치 못하는 나라가 다수임을 감안할 때, 대한민국의 성공은 건국 당시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를 국가의 기본 체제로 선택한 건국의 아버지들의 비전과 리더십, 이후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이 제도의 장점을 살려 민주화와 산업화를 이룬 우리 부모세대와 선배들의 노력과 희생 때문이다. 이런 위업을 이룬 우리 부모세대와 그 끝자락의 지금 우리는 한민족사에 위대한 세대로 기록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위대한 민족중흥 시기를 정의가 실패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시대로 폄하하면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우리 사회 일각에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정의가 실패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했다면 그런 나라는 진작 망했어야 한다. 그런데 대한민국은 그들의 평가와는 달리 계속 발전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실패한 나라라면 수많은 개도국들이 한국의 발전 경험을 배우려고 할 리가 없다. 비판과 저항만으로 국민을 먹여 살리고 나라를 부강하게 할 수는 없다. 욕을 먹더라도 해야 할 일은 해내는 리더십과 거기에 호응한 국민과 기업인들의 참여와 긍정의 정신이 지금의 대한민국을 이뤄낸 시대정신이다.

이런 시대정신이 사라지고 자학적인 역사관과 저항과 비판정신만이 한국 사회를 지배하게 된다면 대한민국 중흥의 역사는 역사의 짧은 한 페이지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김종석 < 홍익대 경영대학장·경제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