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재포럼 2013] "홍콩선 숙련기술 쌓으면 박사학위도 받아"
입력
수정
지면A6
능력 중심 사회를 만든다

‘능력중심사회를 만든다-NCS와 NQF’란 주제로 7일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트랙C세션1에서 좌장을 맡은 송영중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1960~1970년대 한국의 놀랄 만한 경제성장은 능력 중심 사회였기 때문에 가능했다”며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학교 교육과 현장이 괴리되는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생겨났다”고 지적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심슨 푼 홍콩고등과학기술교육대 부총장은 홍콩자격체계(HKQF)를 집중적으로 설명했다. 푼 부총장은 “직업 능력과 교육과정을 통해 받는 학위를 일원화해 어떤 사람이 가진 학위 수준만 보고도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HKQF의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홍콩고등과학기술교육대를 나왔든 홍콩폴리텍대를 나왔든 특정 전공의 학위가 있으면 비슷한 능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는 얘기다. 푼 부총장은 “HKQF에 따른 교육과정을 통해 숙련기술을 쌓으면 공작기계 조작 기술 박사학위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멜리사 맥키완 호주 산업부 부국장은 호주의 ‘견습생’ 제도를 소개했다. 견습생들은 기업에서 3~4년 동안 전문 기술을 배우면서 돈을 벌 수 있다. 1주일에 나흘은 회사에서 일을 배우고 하루는 대학에서 이론 교육을 받는다. 맥키완 부국장은 “기업은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갖춘 직원을 키워낼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소개했다.
이승우/고은이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