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의 풍경] 아름다움은 불편하다
입력
수정
지면A2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파리 국립 미테랑도서관은 그 대표적인 예. 건물 한가운데 정원을 품은 이 거대한 건축물은 그 규모와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보는 이를 매혹하지만 정작 이곳을 이용하는 열람자들은 화장실이나 카페를 가기 위해 100m 이상 다리품을 팔아야 한다. 이용자 편의를 무시한 그런 구조에 대해 불평을 늘어놨더니 프랑스 친구가 말하길 “아름다운 집에 살려면 그만한 불편쯤은 감수해야 한다”며 일침을 놓는다. 그렇다. 프랑스인을 비롯한 유럽인들의 건축에 대한 마인드는 효율성보다는 미적인 측면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 그들은 아름다움은 불편하다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중요한 것은 그런 불편함도 익숙해지면 잊히고 아름다움만 남게 된다는 점이다.
정석범 문화전문기자 sukbum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