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두부와 콩, 모순 확인하고도 고집부리는 동반위
입력
수정
지면A39
중소기업 보호를 내건 정부가 되레 중소기업 적합업종(중기업종) 지정을 해제해달라고 동반성장위원회에 요청하는 황당한 상황이 벌어졌다. 두부를 중기업종으로 지정한 이후 국산콩을 주로 쓰는 대기업 수요가 줄어 콩 생산농민이 판로가 막히고 가격이 폭락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보다 못한 농림축산식품부가 두부를 중기업종에서 빼달라고 최근 동반위에 정식 공문까지 보냈다. 하지만 동반위는 올해 콩 생산이 20% 늘어난 데 따른 일시적 수급불균형이고 중기업종과는 무관하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애먼 농민들로선 땅을 칠 노릇이다.
두부를 중기업종으로 지정한 지도 2년이 지났다. 이쯤 되면 혜택을 봤다는 중소기업이 한둘은 나와야 할 텐데 중소기업 점유율은 제자리다. 반면 CJ 풀무원 대상 등 대기업의 사업확장이 막히면서 국산콩 수매량이 2만t에서 1만t으로 반토막 났다. 성장세였던 두부시장이 올해는 3~4% 감소세다. 농민들은 정부의 식량자급률 확대정책에 따라 콩재배를 늘렸다가 고스란히 피해를 뒤집어 쓰게 됐다. 소비자들도 선택권이 줄었고 1+1 할인행사도 사라져 손해다. 누구를 위한 중기업종인지 알 길이 없다. 두부 사례는 시장을 무시한 포퓰리즘 정책일수록 부작용이 크다는 사실만 새삼 확인케 한다. 중소기업을 보호하자니 농민이 죽고, 재래시장을 살리자니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농어민 중소기업이 피해를 본다. 프랜차이즈, 단체급식 등 동반·상생·경제민주화 구호가 거센 분야일수록 더 그렇다. 국내 대기업이 쫓겨난 자리는 외국기업들의 독무대다. 동반위와 외국기업들이 동반 성장하고 있는 꼴이다.
섣부른 규제로 두부시장을 엉망진창으로 만들고도 동반위는 되레 대기업들의 구매 연기를 탓한다. 안 되는 것을 붙잡고 버티다 보니 오로지 조직의 생존논리만 남은 모양새다. 중기업종 시한(3년)이 끝나는 내년 말이면 온갖 수단을 동원해 시한을 연장하려 들 게 뻔하다. 동반위가 존재하는 한 반(反)시장적 캠페인은 끊임없이 확대 증폭될 것이다.
두부를 중기업종으로 지정한 지도 2년이 지났다. 이쯤 되면 혜택을 봤다는 중소기업이 한둘은 나와야 할 텐데 중소기업 점유율은 제자리다. 반면 CJ 풀무원 대상 등 대기업의 사업확장이 막히면서 국산콩 수매량이 2만t에서 1만t으로 반토막 났다. 성장세였던 두부시장이 올해는 3~4% 감소세다. 농민들은 정부의 식량자급률 확대정책에 따라 콩재배를 늘렸다가 고스란히 피해를 뒤집어 쓰게 됐다. 소비자들도 선택권이 줄었고 1+1 할인행사도 사라져 손해다. 누구를 위한 중기업종인지 알 길이 없다. 두부 사례는 시장을 무시한 포퓰리즘 정책일수록 부작용이 크다는 사실만 새삼 확인케 한다. 중소기업을 보호하자니 농민이 죽고, 재래시장을 살리자니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농어민 중소기업이 피해를 본다. 프랜차이즈, 단체급식 등 동반·상생·경제민주화 구호가 거센 분야일수록 더 그렇다. 국내 대기업이 쫓겨난 자리는 외국기업들의 독무대다. 동반위와 외국기업들이 동반 성장하고 있는 꼴이다.
섣부른 규제로 두부시장을 엉망진창으로 만들고도 동반위는 되레 대기업들의 구매 연기를 탓한다. 안 되는 것을 붙잡고 버티다 보니 오로지 조직의 생존논리만 남은 모양새다. 중기업종 시한(3년)이 끝나는 내년 말이면 온갖 수단을 동원해 시한을 연장하려 들 게 뻔하다. 동반위가 존재하는 한 반(反)시장적 캠페인은 끊임없이 확대 증폭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