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 13개월째 내려…11년래 최장기 하락

생산자물가의 하락세가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에 대체로 선행하는 점을 고려하면 저물가 기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지난 10월 생산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떨어졌다고 18일 밝혔다. 작년 10월 0.5% 하락한 이래 13개월 연속 내림세다. 이렇게 장기간 떨어진 것은 2001년7월~2002년8월(14개월) 이후 처음이다.

하락폭이 가장 큰 품목군은 농림수산품(-6.8%)이다.

임수영 한은 물가통계팀 과장은 "지난해는 태풍의 영향이 10월 농산물 가격에까지 미쳤지만, 올해는 기상이변이 없었고 일부 상품의 작황도 매우 좋다"고 말했다. 품목별로 보면 배추(-50.5%), 무(-47.1%), 파(-45.4%) 등 김장 재료가 많이 떨어졌다.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우려로 고등어(-27.9%), 김(-23.0%), 갈치(-15.6%) 등 수산물의 하락폭도 컸다.

공산품(-2.5%)의 가격도 하락세다. 경유·휘발유 등 석탄·석유제품(-7.4%)과 금괴·세금선 등 제1차금속제품(-5.7%)의 낙폭이 두드러졌다.

이는 경기부진에 의한 수요 감소 등의 영향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서비스물가는 작년 동월보다 0.4%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역시 4.5% 상승했다. 10월 생산자물가는 전월에 비해서도 0.4% 떨어졌다. 전월 대비 하락폭은 9월(-0.1%)보다 커졌다.

국내출하·수입품의 가공단계별 물가를 보여주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2.9% 떨어졌다.

원재료(-5.0%)와 중간재(-3.4%)의 내림폭이 최종재(-1.0%)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국내출하제품·수출품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총산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견줘 2.1% 하락했다. 국내출하분은 1.4%, 수출품은 4.8%씩 수위를 낮췄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