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年 200만개…인천항 '들썩'
입력
수정
지면A30
물동량 200만 TEU 돌파
해운불항 악재 딛고 성과
'환황해권 물류허브' 도약

인천항만공사(IPA)는 1883년 개항한 인천항이 지난 5일 컨테이너 200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처리했다고 11일 발표했다. 컨테이너 처리 200만개 돌파는 인천항이 ‘수도권의 컨테이너 수송항만’의 역할을 넘어 ‘환황해권의 물류허브’로 도약하게 됐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2005년 100만개를 돌파한 지 8년 만이다. 연간 컨테이너 처리량 200만개는 국내에서는 부산항, 광양항에 이어 세 번째다. IPA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이날 송도컨벤시아에서 손재학 해양수산부 차관, 송영길 인천시장, 김광식 인천상공회의소 회장과 화주 및 선사, 부두운영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00만TEU 달성 기념식’을 열었다. 손 차관은 이날 축사에서 “2016년까지 인천항을 해양관광, 레저산업의 전초기지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송 시장은 “인천항이 향후 환황해권 물류중심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항이 컨테이너 처리량 200만개를 달성하기까지 어려움도 있었다. 해운경기 불황 등 대외여건과 올초 인천항 처리실적 3위 선사인 STX팬오션의 법정관리 신청 등 악재가 겹쳤다. 이에 따라 IPA는 운송대행업자와 함께 화주 이탈 방지는 물론 대형화주 발굴 및 신규항로 개설 등 화물 유치에 총력을 쏟았다. 또 물동량 창출전담팀을 구성하고 반월공단 등 수도권 산업단지와 대형 화주를 대상으로 유치활동을 했다. 야적장 환경을 개선하고 화물 유치 인센티브 제공도 확대했다.
김춘선 IPA 사장은 “내년에는 230만개의 컨테이너를 처리해 세계 50위권 항만으로, 2020년에는 430만개를 처리해 세계 30위권 항만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