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권 거래 '옥석 가리기' 新풍속도…"골프장 입회금은 잘 돌려줍니까?"

삼성·GS·한화 등 대기업 골프장 깔끔한 처리
썬밸리CC는 非대기업계열 중 가장 반환 잘해
썬밸리CC는 대기업 계열이 아닌 골프장 가운데 입회금을 가장 잘 반환해줘 회원권시장에서 ‘블루칩 회원권’으로 떠오르고 있다.
회원제 골프장들이 입회금(분양대금) 반환을 놓고 전전긍긍하는 상황에서 회원이 요구하면 입회금을 바로 반환해주는 골프장들이 급부상하고 있다.

17일 골프장, 회원권거래소, 금융회사 등에 따르면 대다수 골프장이 회원들의 입회금 반환을 거절하고 회피하는 반면 입회금을 척척 반환해주는 곳이 등장하면서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골프장의 옥석이 가려지고 있다. 입회금 반환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골프장은 어디일까. ◆대기업 골프장 깔끔하게 처리

대기업은 다른 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회원이 원할 경우 즉각 처리해주는 편이다. 삼성에버랜드 소유인 안양베네스트, 안성베네스트CC는 통상 25일 안에 입회금 반환이 이뤄진다고 한다. GS그룹 계열사인 엘리시안 강촌도 입회금 반환 진행이 깔끔하다고 관계자들은 전한다.

2009년 한국야쿠르트가 인수한 티클라우드골프장(27홀·경기 포천)도 입회금 반환이 빠르다. 이 골프장의 입회금 규모는 1000억원 정도이며 회원 수는 정회원 369명, 주중회원 330명 등 총 699명이다. 이상진 티클라우드 회원관리팀장은 “인수 이후 현재 300억원가량의 입회금 반환 기간이 도래했고, 원하는 회원에게 120억원 정도를 돌려줬다”며 “빠르면 2개월에서 3개월 내에 반환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모기업인 웅진홀딩스의 법정관리로 인해 이미지 타격을 입은 렉스필드CC도 현재 반환을 잘 해주고 있다. 렉스필드는 회원 수 365명에 총 2000억원 규모의 입회금이 있다. 전액 즉시 반환하는 조건으로 회원권을 분양했으며 지금까지 반환을 요청한 금액은 600억~700억원 정도다. 렉스필드CC 관계자는 “올해 100억원, 지난해 200억원 등 총 300억원을 반환했다”며 “매월 10억원을 입회금 반환용으로 적립하면서 원하는 회원에게 돌려주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썬밸리CC도 반환 ‘척척’

대기업 계열이 아닌 골프장 가운데 입회금을 가장 잘 반환해주는 곳은 썬밸리골프그룹이 운영하고 있는 썬밸리CC(18홀·충북 음성)와 동원썬밸리CC(18홀·강원 횡성)다. 썬밸리CC는 올해 총 96건의 입회금 반환이 도래했으며 이 가운데 23건(약 100억원)을 반환해줬고 73건은 연장이 이뤄졌다. 동원썬밸리는 올해 총 146건의 입회금 반환이 도래했으며 이 가운데 89건(약 130억원)을 반환해줬다. 썬밸리CC 관계자는 “회원권 분양을 할 때부터 입회금은 돌려줘야 할 돈이라는 마인드를 갖고 골프장 사업을 시작했다”며 “그동안 차입금 없이 골프장을 경영하면서 위기에 대비한 운영을 해와 언제라도 입회금을 반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 이천의 비에이비스타CC(45홀)도 입회금 반환이 잘되는 곳으로 거론된다. 이곳은 2011년 회원 계좌 수가 1596개, 총 1934억원이었으나 2012년에 1430계좌에 1868억원으로 줄었다.

한정규 골프클래스회원권거래소 법인회원사업팀 팀장은 “썬밸리CC가 국내 골프장 가운데 가장 입회금 반환을 잘해주는 곳으로 소문나 회원권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입회금 반환 여부가 최우선 조건

최근 골프장 회원권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입회금 반환에 문제가 없느냐는 것이다. 과거에는 회원권을 선택할 때 접근성과 주말 부킹 여부 등을 따졌으나 최근에는 재무 건전성을 최우선으로 따진다.

우제균 에이스회원권거래소 애널리스트는 “입회금 반환 능력이 좋은 골프장은 시세가 입회금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다보니 반환 신청도 거의 없다”고 상황을 전했다.

그러나 입회금 반환을 잘해주는 곳들도 이를 잘 드러내지 않으려고 한다. 최근 입회금의 17%만 인정받은 골프클럽Q안성과 공매 처분돼 한푼도 건지지 못한 가산노블리제CC 사태를 보며 불안해진 회원들의 입회금 반환 요청이 봇물처럼 쏟아질 것을 우려한 탓이다. 입회금 반환이 어려운 골프장은 일부만 상환하고 혜택을 늘려주는 등 기간을 연장하며 해결책을 찾고 있다.

한은구 기자 to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