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50 한경 연중기획] 변대규 휴맥스 사장 "기업가적 혁신은 도전·실패·절실함에서 나온다"
입력
수정
지면A8
왜 기업가정신인가 (5) '대기업 되기 싫다'는 중소·중견기업

지난 3일 경기 성남시 휴맥스 본사에서 만난 변대규 사장(54·사진)은 기업가정신을 ‘도전’과 ‘헌신’이라고 정의했다. “변화하는 세상에서 새로운 혁신의 기회를 포착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와 문화 등 국가·사회에 기여할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벤처 1세대를 대표하는 기업인, 변대규가 걸어온 삶도 도전과 헌신의 연속이었다. 1989년 서울 봉천동의 조그만 사무실에서 친구들과 건인시스템(휴맥스의 전신)이란 정보기술(IT) 개발업체를 세운 지 25년, 그의 회사는 1조원대의 매출을 올리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변 사장은 인터뷰 내내 기업가정신의 요체인 ‘혁신’을 강조했다. 그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끄는 기업가적 혁신은 요술방망이로 ‘뚝딱’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다”며 “절실한 마음으로 항상 눈은 크게 뜨고 귀는 활짝 열고 있어야 아주 가끔 열리는 사업 혁신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했다. 대박을 좇기보다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는 데 집중해야 기업으로서 성공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변 사장은 “기업가로 살아온 지난 25년을 되돌아보면 작게 작게 시도해야 잘못되더라도 그 이전으로 방향을 틀어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창업을 ‘대박’, ‘인생역전’의 기회로 접근하지 말라는 말이다. 그는 후배 창업자들에게 “기업은 내가 하고 싶은 걸 하는 게 아니라 소비자와 시장이 원하는 걸 내놓아야 한다”는 조언도 내놨다.
중소기업이 성장을 꺼리는 이른바 ‘피터팬 증후군’에 대해서는 “기업가정신을 잘못 이해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기업가정신은 기업인 자신의 재산을 불리는 게 아니라 사회에 도움이 되는 ‘플러스 알파’를 창조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1980~90년대만 해도 사업하는 사람들은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겠다’는 마음이 커 사옥마다 태극기를 걸어둔 채 목숨과 인생을 걸고 사업에 전념했다”며 “지금은 그런 기업가를 찾아보기 힘들고 개인의 성공에만 초점을 맞춘 창업이 많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