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한류 이제부터다] 은행 해외점포 148곳…외환위기때의 절반 수준
입력
수정
지면A10
초라한 해외 진출 실태국내 금융회사들이 해마다 세우는 경영계획에는 해외 진출 전략이 단골 메뉴로 포함돼 있다.
한국기업 뺏기 '제로섬 게임'
외형 커졌지만 수익 나빠져
'국제화지수' 씨티의 10분의 1
하지만 화려한 청사진과 달리 실적은 초라하다. 은행들의 해외 점포는 작년 9월 말 기준 148개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257개에 여전히 못 미친다. 수익성은 더 별 볼일 없다. 해외 점포가 132개이던 2011년 당기순이익은 7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듬해인 2012년에 점포 수는 142개로 늘었지만 순이익은 6억4000만달러로 감소했다. 작년 상반기에는 2억8000만달러로 더 쪼그라들었다. 뿐만 아니다. 해외 점포의 자산과 수익, 인원수 등을 감안해 국제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초국적화 지수(TNI)’는 더 형편없다. 2012년 말 기준 HSBC은행과 씨티은행의 TNI는 각각 64.7%와 43.7%에 달했다. 반면 국내은행(2013년 6월 말 기준)은 4.8%에 불과했다. 국제화 정도가 씨티은행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진출과 영업이 지지부진한 것은 △한국 기업만을 겨냥한 소극적 영업 전략 △단기적인 진출전략 △현지 금융당국과의 네트워크 단절 및 과도한 규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해외 점포가 북미와 아시아에 집중돼 있는 것이 이런 영업행태를 반영한다.
한 은행 고위 관계자는 “제한된 수의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국 금융사들끼리 현지에서 고객을 빼앗고 빼앗기는 ‘제로섬’ 게임을 벌이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단기적 전략도 문제로 꼽힌다. 문화가 다른 해외에서 자리 잡으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단기간 내 성과가 나지 않으면 영업을 축소하거나 접어버린다. 대규모 자금을 투자했다가 4년 만에 홍콩 영업을 사실상 접은 삼성증권이 대표적이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