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데 덮친 KB금융…위기돌파 카드는?
입력
수정
지면A14
심재오 카드사장 사표수리 전망
이건호 행장 거취 주목…일부선 임영록 회장 책임론도
잇단 대형 사고는 결국 ‘경영진 일괄 사의’라는 초유의 사태로 이어졌다. 이건호 국민은행장,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뿐 아니라 은행 카드 지주 3사의 주요 임원 27명이 책임을 통감한다며 임영록 KB금융 회장에게 사의를 밝혔다. 하지만 이조차도 진정성이 의심된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금융가의 시선은 싸늘하다. ◆연이은 악재에 시달리는 KB
지난 한 해 국민은행에는 악재가 줄을 이었다. 3월에 KB금융의 한 임원이 세계적 주총안건 분석회사인 ISS에 사외이사들의 반대로 ING생명 한국법인 인수를 하지 못한 것과 관련된 내부 정보를 제공해 파문이 일었다. 4월부터 7월까지는 KB금융지주 회장과 국민은행의 수장이 교체되며 진통을 겪었다. 모피아출신 인사들이 유력후보로 언급되면서 관치 논란의 중심에 선 것이다.
9월에는 전 도쿄지점장이 부실기업 등에 수수료를 받아가며 1700여억원을 부당 대출한 어처구니없는 사건이 터졌다. 11월엔 직원이 국민주택채권을 위조, 90여억원을 횡령해 충격을 줬다. 이에 따라 KB금융 계열사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비상 상황이다. 웬만한 계열사 임원들은 하루에 두세 번씩 대책회의를 열 정도다.
일괄 사표를 낸 경영진 중 심 사장의 사표가 수리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한 가운데 이 행장의 거취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임원들의 사표만 받고 경영진에 대한 쇄신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을 경우 ‘보여주기식’ 사고 수습에 급급했다는 비난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선 임 회장 자신도 KB금융의 위기를 불러온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내놓기도 한다. 도쿄지점 부당대출과 국민주택채권 위조 사건 모두 그가 KB지주 사장으로 재직할 때부터 일어난 일이어서다. KB금융의 연이은 악재에 대한 책임을 내부 관계자들에게만 물을 수 없다는 의견도 많다. 한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주인 없는 회사’라는 이유로 경영진 교체기마다 간섭을 했고, 그렇게 최고경영자가 바뀔 때마다 경영전략이 왔다갔다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율경영을 보장하지 않고 매번 자리 챙기기에 급급했던 금융당국이 KB금융을 무조건 비난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꼬집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