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 포인트] '中企살리기' 지역특화로 풀어야
입력
수정
지면A34
이경미 < (재)충청지역사업평가원장 >박근혜 정부의 최대 화두 중 하나는 중소기업 육성이다. 중기는 국정운영 전략인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매개체여서다. 정부가 어려운 재정 속에서도 중기 연구개발(R&D) 지원 예산을 지난해 5.4% 늘어난 약 7조원을 반영한 것을 보면 중기 육성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얼마나 강한지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지방에 있는 중기는 혜택을 받을 길이 멀기만 하다. 지방 중기들은 아이디어나 기술이 있어도 사업화를 위한 연구인력 확보가 어렵고, 오랜 현장 경험으로 성공을 코앞에 둔 기술을 갖고 있어도 자금을 구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중기는 R&D에 투자할 여력을 잃어 성장이 정체되며 매출은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 지방 중기를 기술력이 뛰어난 혁신형 기업으로 키워 국가 경제의 튼튼한 뿌리로 만들기 위해선 어떤 정책이 필요할까. 필자는 ‘지역 특화형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성을 제안한다. 지역별로 가장 잘할 수 있는 산업을 선정해 맞춤 R&D 전략을 취할 필요가 있다. 이는 중복투자를 막아 예산을 좀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중기가 속한 지역의 학계 및 연구기관들을 기업과 연계시켜 최적의 지역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다.
우선 지역의 대학이나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 보유한 특허기술을 해당지역 중기에 이전하도록 유도해 상용화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적극 지원해야 한다.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신생기업에는 KOTRA 등의 공공기관이 수집한 국내외 시장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해 판로 개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산학연 간 연계가 강화되면 공동연구에 참여했던 대학의 연구인력이 자연스럽게 지방 중기로 유입되는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다. 이런 지역의 선순환 기술개발 생태계는 우수기술을 빠르게 사업화로 연계하고 새로운 고용을 창출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서는 중기에 기술을 이전하는 대학이나 출연연 연구원들에게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도 있다. 또 그 지역에 필요한 인프라 및 정보와 기술, 소비자 수요가 무엇인지 빠르게 파악해 대응함으로써 지역 성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경미 < (재)충청지역사업평가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