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칼럼] 자기도 모르게 '실수'…변실금, 부끄러워 마세요

어른이 돼서도 배변 때문에 기저귀를 차거나 속옷을 자주 갈아입어야 하는 환자들이 있다. 직장에 변이 내려와 있는데도 변의를 느끼지 못하고 속옷에다 배변을 하는 경우다. 변의를 느끼기는 하지만 화장실에 가기도 전에 급박하게 배변에 이르러 낭패를 보는 사람도 더러 있다.

정상적으로 배변을 하고 뒤처리를 잘했지만 배변 후에도 조금씩 새어 나오는 변이 있어 속옷을 자꾸 더럽히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이런 상태를 통틀어 변실금이라고 한다. 변실금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다. 하지만 사회에서 심각한 고립을 초래할 수 있는 불편한 질환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성인 중 10~20% 정도가 이런 문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여자들이 많다. 특히 분만 경험이 많은 여자일수록 변실금 발병이 잦다. 남자들도 연세 지긋한 분들에게서 이런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변실금은 항문 괄약근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고령으로 접어들면서 괄약근이 자연스럽게 위축돼 생기기도 하지만 분만 과정이나 항문수술 중에 괄약근이 직접적인 손상을 입어 발생할 수도 있다. 당뇨병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후유증으로 말단 신경이 위축되면서 발병하기도 한다. 변비로 인해 배변을 내려보내려는 힘을 과도하게 반복적으로 주다 보면 골반 바닥을 이루는 근육이 아래로 처지면서 괄약근으로 가는 신경이 손상을 받아 발생하기도 한다.

치료하려면 우선 증상을 분석하고 필요에 따라 항문 괄약근의 손상 여부를 보는 경항문 초음파검사, 항문압을 재어 항문 괄약근의 기능을 평가하는 항문내압 검사, 괄약근에 이르는 신경의 기능을 평가하는 신경전도 검사 등을 시행한다.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약물치료만으로도 뚜렷하게 호전될 수 있다. 만약 괄약근 손상이 있다면 손상 부위를 수술로 간단히 보강해 치료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바이오피드백이라는 치료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항문 괄약근이 수축과 이완을 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생체 신호를 적절한 장치를 통해 환자가 직접 영상으로 인지해 스스로 괄약근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학습치료다. 부작용이 전혀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성무경 < 건국대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