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증가 너무 빠르다…5대은행서만 작년 3조늘어
입력
수정
지면A3
연체 급증…서민가계 압박
![](https://img.hankyung.com/photo/201402/AA.8376618.1.jpg)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들의 전세자금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0조9000억원으로 1년 새 3조2000억원 늘었다. 이 같은 전세대출 급증 현상은 전세란이 일기 시작한 2010년께부터 확연히 나타났다. 5대 은행의 전세대출 잔액은 2010년 말 1조7000억원 △2011년 말 5조2000억원 △2012년 말 7조7000억원 △2013년 말 10조9000억원으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시장이 침체기로 접어들면서 주택 구매 대기자들이 그대로 전세에 눌러앉는 경우가 많아진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전세자금 대출 급증이 서민 가계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하고 있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금융권 전체의 전세대출 연체율은 2011년 3월 말 0.26%에서 지난해 9월 0.74%까지 올라갔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세입자들의 소득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데 전셋값이 자꾸 오르다 보니 연체가 많아졌다”고 분석했다. 전세대출의 보증을 선 주택금융공사와 서울보증보험의 건전성도 점검 대상이다. 은행들이 해 준 전세대출 잔액의 80~90%에 대해 보증을 섰기 때문이다.
장민 금융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은 “전세자금 대출의 부실률이 올라가면 두 기관이 은행에 대신 갚아야 할 금액도 늘어난다”며 “결과적으로 신규 전세대출에 대한 보증 범위기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