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Fed는 출구로 가고 IMF는 돈을 더 풀라 하고…

국제통화기금(IMF)이 선진국들에 대해 금융완화 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권고한 것은 아무래도 어색하다. 22~23일 호주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맞춰 낸 ‘글로벌 경제 전망과 정책 변화’라는 보고서를 통한 정책권고였다. 세계 경제 회복세가 아직 미약한 상황에서 미 중앙은행(Fed)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이 신흥국을 위기에 빠뜨려, 이것이 다시 세계 경제를 위협하는 이른바 ‘역파급효과(리버스 스필오버·reverse spillover)’ 현상을 막아야 한다는 게 IMF의 주장이다. 결국 돈을 계속 풀라는 얘기다.

물론 세계 경제는 IMF 진단대로 이제 막 회복기에 접어들었을 뿐이다. 얼마 전 폴 볼커 전 Fed 의장도 한경 미디어그룹이 주최한 ‘2014 세계 경제·금융 컨퍼런스’에서 낙관은 금물이라고 경고했던 바다. 그렇지만 Fed가 양적완화 축소를 시작한 지 벌써 두 달이 넘는다. Fed 내부에선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이 시점에서 IMF가 선진국들이 돈을 풀어야 한다며 정반대의 정책방향을 권고하고 나섰으니 박자가 맞지 않는 모양새다. 더욱이 IMF는 앞서 국가 부채가 많다고 성장이 둔화되는 것은 아니라며 재정 확대를 지지하는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재정건전성을 강조해왔던 IMF로서는 포퓰리즘적 전환이다. Fed가 테이퍼링에 착수한 것은 이미 3조달러 넘게 풀린 달러를 더는 풀기 어렵다는 판단이었다. 어차피 언젠가는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비상조치였다. 양적완화를 계속하고 있는 유럽과 일본도 결국 끝을 피할 수 없다. 국제적 정책공조가 덜컹대는 상황이다. 현오석 부총리는 이번 시드니 G20 회의를 앞두고 질서정연한 양적완화를 강조하고 있다. 헷갈리는 신호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