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증권 새 주인은 누구?…현대차그룹 인수전 참여 '관심'
입력
수정
산업은행의 현대증권 인수 작업이 본격화하면서 금융권과 재계에서는 24일 매각 가격과 새 주인이 누가 될 것이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현대그룹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매물로 내놓은 현대증권의 시장가격과 장부가격이 차이가 나면서 가격 협상에서 상당한 진통이 따를 것이라는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에 이어 현대증권 등 현대금융 3개 계열사까지 가져가면 현대그룹과의 신경전이나 갈등이 증폭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대그룹은 현대증권과 현대자산운용 현대저축은행 등 금융 계열 3개사를 우선 산업은행 특수목적회사(SPC)에 넘겨 자금을 수혈받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현대증권 기업실사에 착수했다. 현대증권 매각은 산업은행이 사모주식펀드(PEF)를 조성해 현대증권 지분을 인수한 뒤 자금을 현대그룹에 넘겨주고 이후 지분을 시장에 되파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매각 방식은 PEF에 재무적투자자(FI)나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한 투자자가 추후 현대증권을 인수해가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문제는 매각 자금을 놓고 그룹과 시장의 시각차가 크다는 데 있다. 현대증권 지분의 장부가는 5900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그룹은 현대증권의 매각가치를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7000억원 이상으로 예상한다.
시장가는 장부가에 훨씬 못 미친다. 전날 종가 기준으로 현대증권의 지분 가치는 보통주와 우선주를 더해 약 3800억원으로 평가됐다.
현대증권 매각가격과 함께 현대증권의 새 주인이 누가 될 것인가에도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의 움직임에 주목하는 시선이 적지 않다. 현대증권은 현대건설처럼 '모태' 기업이라는 상징성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의미가 크지 않지만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선친인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이 벌여놓은 사업이라는 의미가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현대그룹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매물로 내놓은 현대증권의 시장가격과 장부가격이 차이가 나면서 가격 협상에서 상당한 진통이 따를 것이라는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에 이어 현대증권 등 현대금융 3개 계열사까지 가져가면 현대그룹과의 신경전이나 갈등이 증폭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현대그룹은 현대증권과 현대자산운용 현대저축은행 등 금융 계열 3개사를 우선 산업은행 특수목적회사(SPC)에 넘겨 자금을 수혈받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현대증권 기업실사에 착수했다. 현대증권 매각은 산업은행이 사모주식펀드(PEF)를 조성해 현대증권 지분을 인수한 뒤 자금을 현대그룹에 넘겨주고 이후 지분을 시장에 되파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매각 방식은 PEF에 재무적투자자(FI)나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한 투자자가 추후 현대증권을 인수해가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문제는 매각 자금을 놓고 그룹과 시장의 시각차가 크다는 데 있다. 현대증권 지분의 장부가는 5900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그룹은 현대증권의 매각가치를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7000억원 이상으로 예상한다.
시장가는 장부가에 훨씬 못 미친다. 전날 종가 기준으로 현대증권의 지분 가치는 보통주와 우선주를 더해 약 3800억원으로 평가됐다.
현대증권 매각가격과 함께 현대증권의 새 주인이 누가 될 것인가에도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의 움직임에 주목하는 시선이 적지 않다. 현대증권은 현대건설처럼 '모태' 기업이라는 상징성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의미가 크지 않지만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선친인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이 벌여놓은 사업이라는 의미가 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