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상품이라더니…'찬밥' 된 재형저축
입력
수정
지면A14
‘서민 재테크 상품’을 표방한 ‘근로자 재산형성저축(재형저축)’이 부활 1년 만에 ‘찬밥’ 신세가 됐다.
2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3월6일 18년 만에 다시 출시된 재형저축의 계좌 수(펀드 포함, 활동 계좌 기준)는 그해 6월 말 182만8540계좌로 고점을 찍은 이후 7개월 연속 감소세다. 출시 초기 두 달 만에 170만계좌가 만들어져 한때 ‘광풍’이라는 평가도 받았지만 지금은 175만2297계좌(1월 말 기준)로 쪼그라들었다. 인기가 시들해진 이유는 이자와 배당소득에 붙는 소득세를 면제(14%)받기 위한 의무 가입 기간(7년)이 너무 긴 데다 금리마저 신통치 않아서다. 연 20~30%대의 고금리를 줬던 1980년대와 달리 지금은 최고 연 4.2~4.6% 수준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7년을 묶어둬야 해 ‘재산 형성’이라는 말을 붙일 정도는 아니라는 인식이 퍼졌다.
이에따라 재형저축 가입 기간을 기존 7년에서 5년으로 줄이고 소득공제 등 추가 세제 혜택을 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2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3월6일 18년 만에 다시 출시된 재형저축의 계좌 수(펀드 포함, 활동 계좌 기준)는 그해 6월 말 182만8540계좌로 고점을 찍은 이후 7개월 연속 감소세다. 출시 초기 두 달 만에 170만계좌가 만들어져 한때 ‘광풍’이라는 평가도 받았지만 지금은 175만2297계좌(1월 말 기준)로 쪼그라들었다. 인기가 시들해진 이유는 이자와 배당소득에 붙는 소득세를 면제(14%)받기 위한 의무 가입 기간(7년)이 너무 긴 데다 금리마저 신통치 않아서다. 연 20~30%대의 고금리를 줬던 1980년대와 달리 지금은 최고 연 4.2~4.6% 수준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7년을 묶어둬야 해 ‘재산 형성’이라는 말을 붙일 정도는 아니라는 인식이 퍼졌다.
이에따라 재형저축 가입 기간을 기존 7년에서 5년으로 줄이고 소득공제 등 추가 세제 혜택을 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