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차이나 리스크에 대한 엇갈린 시각

김태완 베이징 특파원 twkim@hankyung.com
“중국 은행보다 안전한 곳이 어디 있나요. 한국 본사에서는 중국 은행의 위기를 걱정하는데 답답합니다.”

베이징에 있는 한국계 은행 A사는 요즘 본사 리스크관리팀으로부터 자금운용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라는 권고를 받고 있다. 은행할인어음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기업대출을 더 늘리라는 것이다. 이런 독촉은 그림자금융이나 지방정부 부채 등으로 은행이 부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심해졌다. 그러나 A사 관계자는 본사에서 중국의 현실을 너무 모른다고 말한다. 은행할인어음은 기업의 매출 채권에 대해 은행이 보증을 선 것이다. 기업이 부도가 나서 채권을 갚지 못하면 은행이 책임을 진다. 금리도 연 6% 이상으로 꽤 높은 편이다. 그는 “중국은 아직 은행파산법이 없어 은행을 망하게 할 수도 없다”며 “차이나 리스크를 과도하게 보는 것 같다”고 했다.

다른 한국계 은행인 B사도 비슷한 처지다. 이 회사는 자금의 상당부분을 은행 간 대출시장에서 운용한다. 지난해 인민은행이 그림자금융을 줄이려고 유동성 공급을 중단해 단기금리가 연 15%대까지 치솟았을 땐 상당한 수익을 냈다. 그러나 본사에서는 기업대출 비중을 더 늘리라고 성화다.

최근 한국계 기업들은 차이나 리스크에 대한 본사의 과도한 우려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한 연구소의 연구원은 “중국이 난리가 났는데 왜 보고서를 보내지 않느냐는 독촉을 받았다”며 “정작 중국에서는 분위기가 차분한데 한국에서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서는 올 들어 뚜렷한 경기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회사채가 부도났고 부동산 거품붕괴 우려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중국 내 전문가들은 대체로 중국 정부가 질적 성장을 위해 어느 정도 의도한 결과라는 점에서 아직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지만 연 7% 이상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부실기업의 부도나 신탁상품의 디폴트(채무불이행)는 시장화의 자연스런 현상인데 이를 시장 전체의 위기로 확대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는 현지 진출 기업 관계자의 말도 새겨볼 만하다.

김태완 베이징 특파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