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방규제 수준이 풀뿌리 민주주의 수준이다
입력
수정
지면A39
안전행정부가 244개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는 5만2541건의 지방규제 가운데 5200여건을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너무 적다. 중앙정부 규제보다 3배 이상이나 많다는 지방규제를 10% 남짓 건드리는 정도에 불과하다. 게다가 상위법령 변경사항을 반영하지 않았거나 법령에 근거가 없는 조례 규칙 훈령 등 규제강도가 낮거나 사실상 사문화된 그저 그런 규제들이다. 건수를 채우기 위한 대책이라는 느낌도 갖게 된다.
대한상의가 지난해 4020개 중소기업을 조사한 결과 기업규제 애로의 주된 원인으로 지자체의 조례·규칙 및 지방 공무원의 행태를 꼽은 응답이 36.3%에 달했다. 지자체야말로 암덩어리 규제의 온상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지자체 등록규제 5만여건 중 10년 이상 해묵은 규제가 41%라고 하니 그동안 기업들이 겪었을 고통은 짐작하고도 남는다. 하지만 지방규제는 등록규제의 정비만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미등록, 유사, 탈법 규제 등 이른바 숨은 규제도 등록규제 못지않게 기업을 괴롭힌다. 안행부가 연 ‘지방자치단체 규제개혁을 위한 민·관 합동토론회'에서도 “부당한 인허가 지연이나 반려, 무리한 기부채납 요구 등 모든 규제를 개혁대상으로 삼아달라"는 하소연이 쏟아졌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런 지방규제를 일부 정비한다고 해도 언제 또 잡초처럼 생겨날지 모른다는 점이다. 규제의 상당수는 지방 특유의 배타적 정치문화가 만들어낸다.
지방선거가 가까워지자 벌써부터 온갖 포퓰리즘과 지역 이기주의에 편승한 공약이 난무하고 유권자의 요구 또한 봇물 터지듯 한다. 문제는 그 파장이다. 이런 공약과 요구는 필경 규제 확대로 이어진다. 풀뿌리 민주주의가 싸구려 집단 이기주의로 전락한 결과로 나타난 게 바로 지금의 지방규제다. 지방규제 수준이 곧 풀뿌리 민주주의 수준이다. 선진국 지자체는 기업 유치를 위해 규제철폐 경쟁을 벌인다는데 우리 지자체는 규제확대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게 이를 말해준다. 이 지방정치를 어떻게 끊을 것인가.
대한상의가 지난해 4020개 중소기업을 조사한 결과 기업규제 애로의 주된 원인으로 지자체의 조례·규칙 및 지방 공무원의 행태를 꼽은 응답이 36.3%에 달했다. 지자체야말로 암덩어리 규제의 온상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지자체 등록규제 5만여건 중 10년 이상 해묵은 규제가 41%라고 하니 그동안 기업들이 겪었을 고통은 짐작하고도 남는다. 하지만 지방규제는 등록규제의 정비만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미등록, 유사, 탈법 규제 등 이른바 숨은 규제도 등록규제 못지않게 기업을 괴롭힌다. 안행부가 연 ‘지방자치단체 규제개혁을 위한 민·관 합동토론회'에서도 “부당한 인허가 지연이나 반려, 무리한 기부채납 요구 등 모든 규제를 개혁대상으로 삼아달라"는 하소연이 쏟아졌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런 지방규제를 일부 정비한다고 해도 언제 또 잡초처럼 생겨날지 모른다는 점이다. 규제의 상당수는 지방 특유의 배타적 정치문화가 만들어낸다.
지방선거가 가까워지자 벌써부터 온갖 포퓰리즘과 지역 이기주의에 편승한 공약이 난무하고 유권자의 요구 또한 봇물 터지듯 한다. 문제는 그 파장이다. 이런 공약과 요구는 필경 규제 확대로 이어진다. 풀뿌리 민주주의가 싸구려 집단 이기주의로 전락한 결과로 나타난 게 바로 지금의 지방규제다. 지방규제 수준이 곧 풀뿌리 민주주의 수준이다. 선진국 지자체는 기업 유치를 위해 규제철폐 경쟁을 벌인다는데 우리 지자체는 규제확대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게 이를 말해준다. 이 지방정치를 어떻게 끊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