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징계 태풍'…최대 150여명 이를 듯
입력
수정
지면A14
하나·국민·우리·신한銀 등 제재 본격화…일부 CEO 중징계 예상
고객정보 유출 카드 3社도 대상
주요 경영사항 결정 줄줄이 연기
![](https://img.hankyung.com/photo/201404/AA.8579339.1.jpg)
◆4대 은행 임직원 ‘도미노 제재’
![](https://img.hankyung.com/photo/201404/AA.8579334.1.jpg)
국민·우리·신한은행 등에 대한 제재도 다음달부터 본격화된다. 국민은행이 가장 센 징계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지점 부당대출 및 비자금 의혹, 보증부대출 부당이자 환급액 허위 보고, 국민주택채권 90억원 횡령 등의 건으로 줄잡아 100여명이 징계나 내부 문책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도쿄지점 부당대출 건과 관련해선 당시 관리 책임이 있는 일부 전·현 경영진의 징계 가능성도 큰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은행은 파이시티 관련 신탁상품 불완전판매로 직원들이 징계를 받는다. 신한은행은 고객정보 불법조회 사건에 대한 제재가 예정돼 있었으나 최근 민원 접수로 인해 제재 시점이 다소 늦춰질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초긴장’…주요 결정 연기도
KB국민·롯데·NH농협 등 카드 3사도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태에 따른 중징계가 기다리고 있다. 이미 3개월 영업정지 등 기관제재를 받았지만 관련 임직원과 최고경영자(CEO) 등에 대한 징계가 남아 있다. 직무정지 또는 해임권고 상당의 중징계가 나올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씨티은행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씨티캐피탈, IBK캐피탈 등도 제재 대상이다. 각각 수만건의 고객정보를 빼돌려 대출모집인 등에게 제공한 혐의로 중징계가 예상된다. 금융권에선 이달부터 6월까지 징계를 받는 임직원 수가 150여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회사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임원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CEO의 거취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이 같은 분위기는 이미 경영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부 금융사는 전략적 판단이 필요한 경영 사안에 대한 결정을 미루고 있다. 중요한 결정을 내린 뒤 담당 임원이나 부서장이 바로 바뀌면 업무 연속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사건·사고와 관련 있는 부서나 영업점은 거의 일손을 놓고 있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장창민/박신영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