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조 첫 단추 '官피아'부터 수술하라] 공직사회 경험한 김태윤 한양대 교수 쓴소리

"지킬 수 없는 엉터리 규제 양산…퇴직 관료가 민·관 유착 매개역할"
“공무원 처우가 좋지 않아서 퇴임 후 좋은 자리를 보상해줘야 한다는 것은 20년 전 얘기입니다.”

김태윤 한양대 행정학과 교수(사진)는 27일 “일반 기업과 비교해 공무원 보수가 낮고 퇴직이 빨라 협회 등에 재취업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는 잘못된 편견이 아직도 존재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그는 “공무원 임금은 삼성 등과 같은 굴지의 대기업과 비교하면 낮겠지만 이는 9급 공무원 등을 모두 포함해 평균 임금을 내기 때문”이라며 “공무원은 연금도 받고, 자기 돈 내고 밥먹을 일도 별로 없다”고 했다.

김 교수는 2006년부터 2년간 국회 예산정책처 사업평가국장으로 공직 사회를 직접 경험했고, 최근까지 규제개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관료가 퇴직 이후 정부와 민간의 유착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은 불필요한 규제 양산에서 비롯됐다는 게 김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세월호 참사가 일각에선 규제 완화 때문에 벌어졌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정반대”라며 “관료들이 지킬 수 없는 엉터리 규제를 잔뜩 만들어놓고 퇴임 후 협회 등으로 내려가 그 규제들을 활용해 호의호식하는 행태가 문제의 본질”이라고 비판했다.김 교수는 “정부가 자율규제를 민간에 맡길 수는 있으나 그 대신 자율규제를 철저히 감독해야 하는 책임을 저버려선 안된다”며 “외국과 달리 한국에선 업계 이익을 대변하는 전직 관료가 (해운조합과 같은) 자율규제 기관의 수장을 맡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킬 수 있는 규제만 만들어서 반드시 지키도록 한다면 고질적인 민간업계와 정부의 유착도 해소될 수 있다”며 “정말 필요한 규제만 남기고 불필요한 규제는 줄이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