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美 구조함 세이프가드, 현장 투입
입력
수정
세월호 실종자 구조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들어 온 미군 구조함 세이프가드호(3300여톤급)가 29일 오전 10시께 진도 사고 현장에 도착했다.
세이프가드호는 지난주 태국에서 출발해 지난 26일 부산항 8부두에 입항했으며 물자를 보급받고 이날 진도 사고해역에 투입됐다.길이 78m, 속도 15노트, 승조원 100명 규모의 이 함정은 감압장비인 채임버, 잠수장비, 고속보트(RIB) 등 수색에 활용할 수 있는 첨단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침몰선박 탐색, 인양, 인명구조 작전을 수행하는 세이프가드호는 2006년 서해상에 추락한 미 공군 F-16C 전투기에 대한 한미 합동 인양작전에 참여했다.
1986년 취역 당시에는 미 해군이 직접 운용했지만 2006년부터 미 해상수송사령부에서 구난함으로 운용하고 있다.함정 자체는 미군 소속이나 승무원 특히 구조 인력은 대부분 민간인 전문 구조 인력들로 알려져 있다.
이번 세월호 사고에서는 직접 구조작업에 참여하기보다는 장비 지원과 구조작업 자문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세이프가드호는 지난주 태국에서 출발해 지난 26일 부산항 8부두에 입항했으며 물자를 보급받고 이날 진도 사고해역에 투입됐다.길이 78m, 속도 15노트, 승조원 100명 규모의 이 함정은 감압장비인 채임버, 잠수장비, 고속보트(RIB) 등 수색에 활용할 수 있는 첨단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침몰선박 탐색, 인양, 인명구조 작전을 수행하는 세이프가드호는 2006년 서해상에 추락한 미 공군 F-16C 전투기에 대한 한미 합동 인양작전에 참여했다.
1986년 취역 당시에는 미 해군이 직접 운용했지만 2006년부터 미 해상수송사령부에서 구난함으로 운용하고 있다.함정 자체는 미군 소속이나 승무원 특히 구조 인력은 대부분 민간인 전문 구조 인력들로 알려져 있다.
이번 세월호 사고에서는 직접 구조작업에 참여하기보다는 장비 지원과 구조작업 자문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