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3~4곳 늘어날 듯…건설사 등에 엄격한 잣대…"선제적 조치"
입력
수정
지면A10
금융당국·은행 '속도전'…개별 신용위험평가도 진행
법정관리 대상 등 7월 발표…"실적쌓기 구조조정" 지적도
![](https://img.hankyung.com/photo/201404/AA.8627399.1.jpg)
◆재무약정 대상 10곳 안팎 될 듯주채권은행들은 최근 대기업 계열에 대한 1차 재무구조 평가를 마쳤다. 평가 대상은 금융권이 내준 전체 대출과 보증(1633조원) 중 0.075% 이상을 쓴 곳(주채무계열)이다. 올해부터 주채무계열 선정 기준이 금융권 신용공여액의 ‘0.1% 이상’에서 ‘0.075% 이상’으로 강화되면서 채권단 관리를 받는 그룹 수는 작년보다 12곳 많은 42곳으로 늘어났다. 은행들은 5월 중 2차 재무구조 평가를 끝내고 재무구조개선 약정 대상 그룹을 선정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특히 최근 3~4년간 실적이 크게 악화된 건설·조선·해운 관련 그룹에 최대한 보수적인 평가 잣대를 적용하라는 가이드라인을 은행에 전달했다. 은행들은 기업의 부채 비율, 현금 흐름 등 재무지표와 산업전망 등 비재무적 요소까지 반영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동양과 STX 사태 이후 기업 부실 논란이 커지면서 선제적 기업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돼 재무구조 평가 기준을 대폭 강화한 데다, 주채무계열 수 자체도 증가했기 때문에 약정 대상은 작년보다 3~4곳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은행들은 약정 체결 대기업을 대상으로 핵심 자산 매각 등 고강도 구조조정을 요구할 방침이다. 지난해 재무구조 개선 약정을 맺은 대기업 계열은 한진, STX, 동부, 금호아시아나, 대한전선, 성동조선 등 6곳이다. 여기다 이번에 새로 약정을 맺는 3~4곳을 합치면 약정 대상 그룹은 10곳 안팎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개별 대기업도 옥석 가리기
은행들은 개별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금융권 대출과 보증액이 500억원 이상인 1800곳의 개별 대기업에 대한 기본 신용위험평가를 진행 중이다. 이 중 500개 안팎의 회사를 골라 6월까지 세부 신용위험평가에 들어간다. 금융당국은 은행별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A등급(정상), B등급(일시적 유동성 부족), C등급(워크아웃), D등급(법정관리) 등으로 분류해 7월 초 발표할 계획이다.한편 기업 구조조정 작업이 본격화하면서 금융당국이 은행들을 압박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 수를 늘리려 한다는 논란도 일고 있다. 금융당국의 ‘실적 쌓기용 기업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