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도시가스에 전셋값까지 ↑…4월 물가 또 '휘청'
입력
수정
4월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1.5%를 기록,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크게 뛰었다. 물가의 장기적 추세를 보여주는 농산물·석유류 제외한 근원물가은 1년 전보다 2.3% 올랐다. 2년 2개월 만에 최대치였다.
1일 통계청은 이같은 '4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했다.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5% 올라 작년 8월(1.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달에 비해서는 0.1% 상승했다.
근원 물가는 전달보다 0.2%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도 작년 같은 달보다 1.9% 올랐다. 전달 1.7%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과 같았지만 전년 동월 대비 1.0% 올랐다. 식품은 0.1% 상승했지만 식품이외에서 1.4%의 오름폭을 기록한 영향이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신선식품지수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높았던 작년 같은 달보다 12.0% 떨어졌고 전달과 비교해서도 1.2% 하락했다.
품목 성질별로 살펴보면 상품은 전년동월 대비 1.3% 상승했고 전월대비 0.2% 하락했다.
이 중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3.5% 떨어졌다. 축산물이 14.1% 올랐지만 농산물에서 -12.8% 하락한 영향이 컸다. 수산물은 1.4%로 소폭 올랐다.1년 새 돼지고기(28.0%), 수입 쇠고기(13.2%), 달걀(11.5%) 값이 많이 올랐다. 배추(-66.5%), 마늘(-25.3%)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내구재(0.5%)가 오르고 석유류(-2.8%)는 떨어져 전체적으로 2.0% 상승했다. 우유(11.5%), 썬크림(26.7%) 등이 올랐고 휘발유(-3.8%), 모발염색약(-20.4%) 등이 내렸다. 전기·수도·가스는 도시가스(6.5%), 전기료(2.7%) 등의 상승세로 1년 전보다 4.2% 올랐다.
공동주택관리비(3.1%), 미용료(5.0%) 등 개인서비스 가격이 1.8% 올랐다. 외래진료비(2.1%), 하수도료(12.0%) 등 공공서비스 가격도 0.7% 상승했다.집세도 2.5% 올랐다. 전세(3.1%)와 월세(1.2%)가 모두 오른 영향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일 통계청은 이같은 '4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했다.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5% 올라 작년 8월(1.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달에 비해서는 0.1% 상승했다.
근원 물가는 전달보다 0.2%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도 작년 같은 달보다 1.9% 올랐다. 전달 1.7%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과 같았지만 전년 동월 대비 1.0% 올랐다. 식품은 0.1% 상승했지만 식품이외에서 1.4%의 오름폭을 기록한 영향이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신선식품지수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높았던 작년 같은 달보다 12.0% 떨어졌고 전달과 비교해서도 1.2% 하락했다.
품목 성질별로 살펴보면 상품은 전년동월 대비 1.3% 상승했고 전월대비 0.2% 하락했다.
이 중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3.5% 떨어졌다. 축산물이 14.1% 올랐지만 농산물에서 -12.8% 하락한 영향이 컸다. 수산물은 1.4%로 소폭 올랐다.1년 새 돼지고기(28.0%), 수입 쇠고기(13.2%), 달걀(11.5%) 값이 많이 올랐다. 배추(-66.5%), 마늘(-25.3%)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내구재(0.5%)가 오르고 석유류(-2.8%)는 떨어져 전체적으로 2.0% 상승했다. 우유(11.5%), 썬크림(26.7%) 등이 올랐고 휘발유(-3.8%), 모발염색약(-20.4%) 등이 내렸다. 전기·수도·가스는 도시가스(6.5%), 전기료(2.7%) 등의 상승세로 1년 전보다 4.2% 올랐다.
공동주택관리비(3.1%), 미용료(5.0%) 등 개인서비스 가격이 1.8% 올랐다. 외래진료비(2.1%), 하수도료(12.0%) 등 공공서비스 가격도 0.7% 상승했다.집세도 2.5% 올랐다. 전세(3.1%)와 월세(1.2%)가 모두 오른 영향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