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율 5년만에 최악…기업 "땡처리도 못해"

삼성전자·현대차 26조 쌓여
생산·고용감축 악순환 우려

원高로 수출 주춤…세월호 쇼크 겹쳐
경기 회복돼도 바로 생산확대 어려워
서울 명동의 한 화장품 가게가 재고를 처리하기 위해 ‘최고 50%’ 할인행사를 하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기업들의 재고 증가율이 판매 증가율을 훨씬 웃돌고 있다. 국내 간판 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의 재고 자산만 26조원을 넘나든다. 지금 같은 속도로 재고가 빠르게 늘어날 경우 기업들은 생산 감축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수출전선에 ‘원고 쇼크’, 내수에 ‘세월호 쇼크’가 엄습하고 있는 상황이다. 올 들어 회복권에 접어든 경제가 ‘생산 감소→투자 위축 및 고용 감소→경기 회복세 지연→재고 증가’의 악순환에 봉착할 수 있다는 우려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월 재고율(제조업의 출하량에 대한 재고량 비율)은 121%로 나타났다. 2009년 1월(126.4%) 이후 5년2개월 만의 최고치다.

특정 기간에 100개 제품이 출하됐다면 그 시점의 총 재고는 121개라는 얘기다. 이 같은 양상은 통계청의 선행지수 중 하나인 재고순환지표(출하 증가율에서 재고 증가율을 뺀 수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월 -0.2%포인트였던 이 수치는 3월 -0.5%포인트로 확대됐다. 재고가 쌓이는 속도가 출하되는 속도보다 빨라졌다는 의미다.한국경제신문이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의 재고 자산을 취재한 결과도 이 같은 흐름과 일치한다. 이들 기업의 재고는 2010년 38조3255억원에서 지난해 48조1097억원으로 3년 사이에 9조7842억원 증가했다. 전년 대비 증가율로 보면 2012년 1.8%에서 지난해 4%로 늘었다.

한국은행이 국가 전체 재고를 산출한 지난해 재고 증가율이 0.8%였던 점을 감안하면 기업들의 재고 증가율이 훨씬 높았다고 볼 수 있다. 김승철 한은 지출국민소득팀장은 “통상 경제 규모가 커지면 원자재-중간재-완제품으로 이어지는 재고자산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지만 회계상 완제품만 재고로 보는 통계청의 통계를 보면 산업현장의 실상을 보다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쌓이는 재고에 대한 부담은 기업인들이 작성하는 통계지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은이 2862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재고 수준에 대한 경기실사지수(BSI)는 지난달 106으로 전월보다 1포인트 올랐다. 100이 넘으면 재고를 우려하는 기업이 많음을 뜻한다.

실제 지난해 말 삼성전자의 총자산 대비 재고자산 비중은 8.9%로 글로벌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았던 2009년(8.7%)보다도 0.2%포인트 높았다. 현대자동차의 지난해 전년 대비 재고 증가율도 4.4%로 같은 기간 매출 증가율(3.3%)보다 높았다.

이 같은 양상이 빚어지는 일차적 요인은 제품 출하량 증가세가 갈수록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품 출하 증가율(전월비 기준)은 2009년 2월 6.9%에서 지난 3월 1.3%로 떨어졌다. 특히 지난해 1월부터 올 3월까지 15개월 가운데 절반 이상인 8개월은 전월 대비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백근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이에 대해 “기업들의 생산 및 출하가 국내외 시장에서 제대로 소화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수출 증가세가 주춤하고 있는 가운데 내수도 아직은 지지부진한 상태인 것이 재고가 쌓이는 배경이라는 얘기다. 지난해 국내 기업의 수출 증가율(전년 기준)은 2.1%에 불과했다. 2001~2012년 연평균 수출 증가율이 9.8%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성장세가 확연히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예전 같은 수출 증가 탄력성이 사라지면서 기업들의 재고 물량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내수 부문의 소매판매액 증가율도 지난 1월 2.4% 반짝 오른 것을 제외하고 2011년 3월(3.4%) 이후 2%를 넘은 적이 없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통상 경기가 좋지 않으면 기업들이 할인판매 등을 통해 재고를 소진하지만 최근에는 소비심리가 워낙 위축돼 그런 방법도 한계에 부딪힌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한 중견 소비재 기업의 대표는 “시쳇말로 ‘땡처리’를 하려 해도 이미 2차, 3차 할인시장이 공고하게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어서 여의치 않은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재고부담이 향후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특히 대기업들의 재고 증가는 협력·하청업체에 대한 주문 감소로 이어져 소득과 고용여건을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김 연구위원은 “지금 같은 재고자산을 안고 있으면 나중에 경기가 회복국면에 들어가더라도 곧장 생산 확대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세종=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