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원권, 시중 유통 잔액의 2/3··그런데 왜 보기가 어렵지?

5만원권이 발행 5년만에 시중 유통화폐 잔액의 약 3분의 2를 차지할 만큼 빠른 속도로 보급이 늘고 있으나

좀체로 구경하기는 쉽지 않은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5만원권은 2009년 6월23일 처음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해 만 5살을 눈앞에 두면서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대체를 비롯한

화폐의 제조·유통 비용 절감 측면에서는 확실히 효과를 내고 있으나

지하경제의 수단인 `검은 돈`으로서도 기능이 문제점으로 불거지고 있는 것.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시중에 풀린 화폐(기념주화 제외) 중 5만원권의 연말 발행잔액 비중은 2009년 26.6%, 2010년 43.9%,



2011년 53.3%, 2012년 60.3%, 2013년 64.2%로 높아졌다.



올해 4월말에는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이 43조8,510억원으로, 전체 화폐 잔액의 65.9%를 차지했다.



5년만에 그야말로 국내 화폐 구성의 지각 변동이 일어난 셈이다.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은 장수로는 8억7,702만장으로, 1인당 18장가량 보급돼 있는 셈이다.



5만원권 발행 이후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한때 직장인들의 비상금 수단이던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감소.



10만원권 자기앞수표는 5만원권이 발행되기 전인 2008년 하루 평균 결제규모가 374만2천건에 달했으나



2009년에는 307만3천건으로 전년보다 17.9% 줄어든 것을 비롯해 매년 감소폭이 커져 지난해에는 112만9천건(1천129억원)에 그쳤다.



요즘은 사회생활에서 거의 구경하기 힘든 물건이 됐다시피 할 정도다.



애초 고액권인 5만원권을 도입한 취지가 은행권의 제조 및 유통비용 절감, 국민의 화폐사용 편의 제고 등인 만큼 일정 부분 역할을 한 셈이다.



그러나 애초 우려대로 5만원권이 나올 때부터 음성 거래 등 지하경제에 대한 부담은 예상되었었다.



2002년 대통령 선거 때 `차떼기`에 사용된 사과상자에는 1만원권으로 약 5억원, 007가방에는 1억원이 들어갔지만



5만원권을 사용하면 사과상자에는 25억원, 007가방에는 5억원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 1억원을 전달하려면 007가방 1개가 필요했지만 5만원권을 사용하면 양주 박스 1개로도 가능하다.



5만원권 환수율은 발행 첫해인 2009년 7.3%에 그쳤지만 2010년 41.4%, 2011년 59.7%, 2012년 61.7%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다가 지난해 48.6%로 뚝 떨어졌다.



정부가 지하경제 양성화에 강한 의지를 보이면서 탈세 등 지하경제 수요가 오히려 늘어난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지만 정확한 원인 분석은 어려운 상황이다.



한은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고액권 중심의 화폐 수요 증가는 주요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



한은은 지난 3월 발표한 연차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강화되고



저금리로 화폐 보유성향이 높아진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5만원권의 증가 원인을 추정한 바 있다.

다만, 지하경제 부문은 분석이 어렵고 과학적으로 따져볼 수 있는 원인만 들여다본 평가라는 단서를 달았다.


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셰어하우스‘ 최희 민낯 공개, 굴욕 없는 백옥피부…화장 전후 ‘입술만 달라’
ㆍ김한울 악수 거부, 박근혜 대통령 두번이나 청했지만..무슨 일?
ㆍ먹기만 했는데 한 달 만에 4인치 감소, 기적의 다이어트 법!!
ㆍ권미진, 다이어트 후 180도 달라진 남자들의 태도 `너무해!`
ㆍ[6.4 지방선거] 잠정 투표율 56.8%‥16년 만에 최고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