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정년연장 등 현안 산적한데…경총 회장은 넉 달째 공백
입력
수정
지면A15
이장한·이웅열·김윤·오명 등 후보자 모두 고사“답답해 미치겠다. 우리가 앞장서서 풀어야 할 노동현안이 쌓여있는데 총괄사령탑이 없으니….”
재계 결속약화로 노동현안 대응 차질빚나 우려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 고위 관계자는 최근 협회 내부 분위기를 이렇게 전했다. 경총은 지난 2월27일 이희범 전 회장이 물러난 이후 넉 달 동안 후임 회장을 내지 못하고 있다. 자원자가 없는 가운데 타천(他薦)을 받은 이들이 모두 회장직을 고사하고 있어서다. 산적한 노동현안을 풀기 위해선 기업들이 결속해야 하는데, 경총 회장 선출이 표류하고 있어 재계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꼬여만 가는 경총 후임회장 선출
경총 회장 자리는 지난 1월 이 전 회장이 LG상사 부회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비어있는 상태다. 이 전 회장의 공식 임기가 끝난 지난 2월부터 김영배 부회장이 회장 직무대행을 맡은 가운데 경총 내부에선 회장추천위원회를 꾸려 4개월간 후임자 물색작업을 벌여왔다.
처음엔 22명의 부회장 가운데 주요 그룹 ‘오너’를 추대하려 했다. 이웅열 코오롱 회장, 이장한 종근당 회장, 조남욱 삼부토건 회장, 김윤 삼양사 회장 등이 유력 후보들. 회장추천위는 이 가운데 김윤 회장을 최적임자로 꼽았다. 그러나 김 회장이 지난 2월 한일경제협회장을 맡으면서 무산됐다. 이장한 회장, 조남욱 회장, 이웅열 회장 등도 모두 고사했다. 경총 고위 관계자는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나 무역협회장 자리는 다들 가려고 하는데 경총 회장에는 아무도 오지 않으려 한다”며 답답해했다.주요 그룹 ‘오너’ 출신 회장 선임이 난항을 겪자 경총 내부에선 전문 경영인과 관료 출신 경영인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 과정에서 김종갑 한국지멘스 회장(산업자원부 차관 출신)도 물망에 올랐으나 외국계 기업이란 점에서 배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장추천위는 가장 최근엔 과학기술부 장관 출신인 오명 동부그룹 전자부문 회장을 접촉했으나 오 회장이 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동욱 경총 홍보기획본부장은 “지금으로선 더이상 접촉할 후보가 없어 (영입 작업에서) 손을 뗀 상황”이라고 말했다. 재계에선 경총 회장 선출작업이 1년 이상 걸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A그룹 관계자는 “45년 경총 역사에서 회장 공백기가 있었던 적은 단 두 차례(1997년, 2003년)인데, 이번엔 더 오래갈 것 같다”며 “노동문제를 다뤄야 하는 경총 회장은 골치 아픈 자리란 인식이 팽배하다”고 말했다.○하반기 노동현안 대응 차질 빚나경총 회장 공백이 길어지면서 하반기 노동현안에 대한 재계 차원의 대응력이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경총 회장은 명예직이지만, 주요 현안에 대한 재계 차원의 입장을 정리해 정부, 정치권, 노동계에 전달하는 창구 역할도 맡기 때문이다. 당장 내년도 최저임금을 이달 안에 결정해야 한다. 노동계와 사용자, 공익위원들로 구성된 최저임금위원회는 이달 19일, 늦어도 26일까지 최저임금 인상률 협상을 마쳐야 한다. 현재 노동계는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시간당 5210원)보다 28.5% 인상한 시간당 6700원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경총이 주도하는 사용자 측에선 인상폭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입장만 내놓을 뿐, 구체적인 협상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하반기 정치권에서 추진하는 통상임금 관련 근로기준법 개정도 경총 주도로 풀어야 할 숙제다. 노동계는 정기상여금 등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는 작년 말 대법원 전원합의체 결정대로 임금체계를 조정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재계는 통상임금 범위를 무한정 넓혀서는 안 된다고 맞서고 있다. 다른 경제단체 관계자는 “올해는 통상임금, 정년연장, 타임오프 등 난제가 많다”며 “경총이 개별 기업 임금·단체협상을 대행할 때도 있는데, 회장 공백으로 제 역할을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태명/최진석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