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KB금융] (1) 지분 1%도 없는 정부에 휘둘린 KB금융, 회장 4명 연속 징계

나락으로 떨어진 네가지 이유

(2) 외부출신 CEO, '내 사람' 심기 '불협화음'
(3) 힘센 사외이사, 툭 하면 회장·행장과 충돌
(4) 낙하산에 '줄서기'…영업력 약화로 이어져
< 패닉에 빠진 국민은행 >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이 금융 당국으로부터 중징계를 통보받아 분위기가 어수선해진 가운데 국민은행 직원들이 10일 서울 여의도 본점으로 들어가고 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이 금융감독원에서 ‘중징계’ 통보를 받으면서 KB금융과 (합병)국민은행이 출범한 이후 거쳐 간 회장과 은행장이 모두 징계를 받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졌다. 이번에는 회장과 은행장이 동시에 징계를 받아 충격이 더 큰 상황이다. KB금융이 통합은행 출범 13년, 지주사 출범 6년 만에 나락으로 떨어진 이유를 네 가지로 정리했다.

○지분 1%도 없는 정부의 주인행세KB금융의 지난해 말 기준 최대주주는 국민연금(지분율 9.96%)이다. 이어 뉴욕멜론은행(8.37%), 포스코(3%) 등으로 ‘주인’이 없다. 정부는 2003년 12월 지분(9.33%)을 모두 매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장이나 은행장 선임 때마다 정부의 ‘입김’이 크게 작용했다. 지주사 회장은 모두 외부 출신이었다. 은행장도 민병덕 행장을 제외하곤 모두 외부에서 왔다. 이들은 선임 과정에서 ‘낙하산 논란’의 장본인이 됐다.

지난해 7월 취임한 임 회장과 이 행장도 각각 ‘모피아(재무부+마피아)’와 ‘연피아(금융연구원+마피아)’ 출신이다.
○낙하산 CEO 간 주도권 다툼

각각 다른 ‘줄’을 타고 외부에서 온 최고경영자(CEO)들은 사사건건 갈등을 일으켰다. 사외이사 선임 등을 놓고 대립한 황영기 전 회장과 강정원 전 행장이 대표적이다. 또 은행 부행장 등 임원 선임을 두고도 서로 인사권을 행사하기 위한 힘겨루기를 해왔다. 임 회장과 이 행장이 중징계 통보를 받은 것도 결국 내부 갈등 때문이었다는 시각이 많다. 인사권을 놓고 그동안 수면 아래서 충돌하다가 전산시스템 교체를 둘러싸고 잠재돼 있던 갈등이 드러났다는 게 KB금융 안팎의 분석이다.○‘왕’이 된 사외이사

CEO와 사외이사의 유착 관계가 강화되면서 사외이사들이 큰 힘을 갖게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ING생명 한국법인 인수를 놓고 어윤대 전 회장과 갈등을 벌인 사외이사들이 대표적인 경우다. 국민은행 사외이사들은 최근 IBM에서 유닉스로 전산시스템을 바꾸는 결정에 문제가 있다는 이 행장과 정병기 국민은행 감사의 보고를 받는 것 자체를 거부하기도 했다. 이는 결국 회장, 행장, 사외이사, 감사 모두 징계를 받는 결과로 이어졌다.○‘줄대기’ 풍토 만연

낙하산 인사가 지속되면서 은행 및 지주사 내 ‘줄대기’ 문화가 강화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회장, 은행장이 바뀔 때마다 임원들이 모두 갈리고, 그에 따라 직원들의 운명도 왔다갔다 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옛 국민은행과 주택은행 출신들이 화학적 결합을 이루기는커녕 반목만 확대되는 결과를 낳았다. 조직 내 갈등은 자연스럽게 영업력 약화로 이어졌다. 2001년 합병 국민은행의 총자산은 172조원이었다. 우리은행(77조원)과 신한은행(55조원)은 비교 대상도 아니었다.

지금은 아니다. 작년 말 국민은행의 총자산은 265조원으로 우리은행(249조원), 신한은행(238조원) 등과 엇비슷한 수준이다. 상대적으로 국민은행의 성장세가 정체됐다는 의미다. 2008년 9월에는 KB금융지주를 출범시키면서 지주사 간 경쟁을 예고했지만, 지난해까지 6년째 한 번도 신한금융지주의 순이익 규모를 넘은 적이 없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