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포커스]네번째 민영화 추진 우리금융 "투자 기다려야"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발표했다. 일정 등이 구체화됐다는 점은 긍정적이나 주식 시장에 상장된 우리금융에 대한 투자는 한 발 물러서 있으라는 조언이다.

유승창 KB투자증권 연구원은 24일 "금융위원회는 전날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 합병 후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게 될 우리은행(존손법인) 지분 56.97% 전량을 경영권지분(30%) 및 소수지분(26.97%) 매각으로 입찰을 분리해 동시에 실시키로 했다"며 "민영화 방안 및 일정이 보다 구체화됐다는 점은 긍정적이나, 관련 세부내용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금융위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오는 9월 매각 공고를 하고, 연내 경영권지분 최종입찰대상자 선정과 소수지분 낙찰자 선정을 완료할 방침이다.

우리금융의 주가 향방은 경영권지분 매각에 달렸다는 분석이다.

이신영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비은행 금융기관 등에게 인수될 경우 펀드판매 방카슈랑스 등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판단했다. 소수지분 매각의 영향은 중립적이라고 봤다. 물량부담이 생길 수 있으나 단기적인 이슈로 보이며, 낙찰 직후 3~6개월 행사제한 및 매각시 콜옵션 자동소멸 등의 조건을 감안하면 물량부담 이슈도 적을 것이란 예상이다.

그러나 이번 민영화 작업이 흥행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이철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과연 제대로 된 주인을 찾아줄 것인지 여부가 우리금융의 장기적 가치를 결정할 것"이라며 "그러나 현재로서는 교보생명 외에 경영권지분 매각에 참여할 자격을 충족하고, 의욕을 보이는 곳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유효경쟁 요건 충족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했다.우리금융의 경영권지분 매각은 인수만 허용하고 합병을 불허함에 따라 은행지주회사는 참여가 어려울 것이란 판단이다.

이어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피인수 금융회사의 소액주주 가치가 인수 주체의 의지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따라서 이번 매각 작업과 관련해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보다는 한 발 물러나 있는 것이 나은 것같다"고 권고했다.

정부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한빛은행 등 5개 금융회사를 자회사로 둔 우리금융지주를 2001년 4월에 출범시킨 후 2010년 2011년 2012년 등 세 차례에 걸쳐 민영화를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입찰자 2곳 이상의 유효경쟁이 성립하지 않아 모두 무산됐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