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의 질, 물질 부문 '개선'·'건강 부문 '악화'
입력
수정
한국 국민의 '삶의 질'을 통계지표로 측정한 결과, 이전보다 34개 항목은 개선, 22개 항목은 악화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비 고용 임금 등 물질 부문에서는 뚜렷한 개선세를 보인 반면 안전과 환경 가족·공동체 문화·여가 등 비물질 부문은 그렇지 못했다. 특히 건강 영역에서 눈에 띄는 악화 추세를 보였다.통계청이 30일 총 12개 영역 81종 지표로 구성된 '국민 삶의 질' 측정 지표 체계를 발표했다. 이중 70종 지표값은 홈페이지를 통해 바로 공개했으나 11종 지표값은 아직 한 번밖에 측정이 안 된 탓에 증감 비교가 어렵다며 내년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삶의 질' 측정 지표 체계는 크게 △소득·소비·자산 △고용·임금 △사회복지 △주거 등 4개의 물질 부문과 △건강 △교육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시민참여 △안전 △환경 △주관적 웰빙 등 8개 비물질 부문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공개된 70종 지표 중 비교대상 전년도 대비 개선된 지표는 34종(48.6%), 변화가 없는 지표는 14종(20.0%), 악화된 지표는 22종(31.4%)이었다. 제자리 걸음 수준이거나 나빠진 지표가 절반이 넘는 68.6%인 셈이다.영역별로는 소득·소비·자산 영역에서 8개 지표 중 5개 개선, 고용·임금 영역에서 6개 지표 중 5개 개선, 문화·여가 영역에서 6개 지표 중 4개 개선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수명과 비만율 등으로 구성된 건강 영역은 공개된 8개 지표 중 개선이 1개, 악화가 5개로 전반적인 악화 추세를 보였다. 강력범죄 발생률과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등 안전 영역도 8개 지표 중 개선 2개, 보합 4개, 악화 2개로 성적이 좋지 않았다.
통계청은 '국민 삶의 질 지표' 홈페이지(http://qol.kostat.go.kr)를 통해 관련 각 지표를 2000년부터 최근까지의 시계열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국제비교나 종합지수는 산출하지 않는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소득과 소비 고용 임금 등 물질 부문에서는 뚜렷한 개선세를 보인 반면 안전과 환경 가족·공동체 문화·여가 등 비물질 부문은 그렇지 못했다. 특히 건강 영역에서 눈에 띄는 악화 추세를 보였다.통계청이 30일 총 12개 영역 81종 지표로 구성된 '국민 삶의 질' 측정 지표 체계를 발표했다. 이중 70종 지표값은 홈페이지를 통해 바로 공개했으나 11종 지표값은 아직 한 번밖에 측정이 안 된 탓에 증감 비교가 어렵다며 내년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삶의 질' 측정 지표 체계는 크게 △소득·소비·자산 △고용·임금 △사회복지 △주거 등 4개의 물질 부문과 △건강 △교육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시민참여 △안전 △환경 △주관적 웰빙 등 8개 비물질 부문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공개된 70종 지표 중 비교대상 전년도 대비 개선된 지표는 34종(48.6%), 변화가 없는 지표는 14종(20.0%), 악화된 지표는 22종(31.4%)이었다. 제자리 걸음 수준이거나 나빠진 지표가 절반이 넘는 68.6%인 셈이다.영역별로는 소득·소비·자산 영역에서 8개 지표 중 5개 개선, 고용·임금 영역에서 6개 지표 중 5개 개선, 문화·여가 영역에서 6개 지표 중 4개 개선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수명과 비만율 등으로 구성된 건강 영역은 공개된 8개 지표 중 개선이 1개, 악화가 5개로 전반적인 악화 추세를 보였다. 강력범죄 발생률과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 등 안전 영역도 8개 지표 중 개선 2개, 보합 4개, 악화 2개로 성적이 좋지 않았다.
통계청은 '국민 삶의 질 지표' 홈페이지(http://qol.kostat.go.kr)를 통해 관련 각 지표를 2000년부터 최근까지의 시계열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국제비교나 종합지수는 산출하지 않는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