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다株' 날다…환율·내수침체 무풍지대
입력
수정
지면A23
中시장 특화한 종목 '활활'
화장품 코스맥스·한국콜마, 6월에만 20% 급등
베이직하우스·휠라 상승세…주춤했던 게임株도 V자 반등

◆화장품, 의류주 ‘위풍당당’화장품 업종 대표주인 한국콜마는 지난달 이후 1일까지 주가가 20.30% 올랐다. 코스맥스 역시 같은 기간 주가 상승률이 20.19%에 달했다. 중국 정부가 화장품에 부과해온 소비세를 낮출 수 있다는 기대와 이에 따른 중국 화장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부각된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풀이했다.
박나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고가 화장품 판매처인 백화점과 방문판매 부문 매출이 계속 줄어드는 반면 중국 쪽 매출은 꾸준히 늘고 있다”며 “중국 비중이 높은 업체일수록 실적과 주가 전망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의류주들도 실적 개선 업체를 중심으로 주가가 오르고 있다. 지난달 이후 10.14% 뛴 베이직하우스, 같은 기간 8.08%의 상승률을 보인 휠라코리아 등이 대표적이다.최악의 5월을 보냈던 게임주들도 6월 이후엔 ‘V자’를 그리며 반등하고 있다. 6월 초 16만원대가 무너졌던 엔씨소프트는 이날 18만1000원에 장을 마쳤다.
급성장하는 중국 영화시장을 빗댄 ‘찰리우드(차이나+할리우드)’ 관련주들도 최근 되살아나고 있다. 중국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상영관을 늘리고 있는 CJ CGV는 6월 이후 5.72% 올랐다. 박성호 동양증권 연구원은 “CJ CGV의 중국 상영관은 2012년 11개에서 작년 27개로 늘었고 2020년에는 200개까지 늘어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제조업체도 ‘중국향’ 우세원화 강세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 제조업체 중에서도 중국 시장에 특화한 곳은 사정이 낫다. 레노버나 화웨이, ZTE 등 중저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에 부품을 공급하는 엠씨넥스는 6월 이후 3.56% 올랐다. 같은 기간 이노칩의 주가 상승률도 1.63%로 집계됐다. 상승폭이 크진 않지만 국내 스마트폰 부품주들이 급락하는 것과 비교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중국 시장을 기반으로 한 소비재 관련주들의 강세 국면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서동필 IBK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중국 시장을 겨냥한 실적이 견실한 중소형주들의 매력이 더 커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경기가 더디지만 살아나는 추세라는 점도 중국 관련주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이날 공개한 6월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올 들어 가장 높은 51.0이었다.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조금씩 효과를 내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다.
송형석/김동욱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