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르면 내주께 쌀 시장 개방 선언…수입쌀 관세율 '종가세' 방식으로 부과
입력
수정
지면A10
수입쌀 판매가격 높아져
국내 농가 보호에 유리

7일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쌀 시장 개방으로) 국내로 수입되는 쌀에 대한 관세율은 종가세 방식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쌀 시장을 개방하는 국가는 종가세와 종량세 중 원하는 관세율 계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한국보다 먼저 쌀 시장을 개방한 일본과 대만 모두 종량세 방식을 택했다. 현재 일본의 관세는 ㎏당 321엔(약 3376원), 대만은 ㎏당 45대만달러(약 1519원)다.
일본 대만과 달리 한국 정부가 종가세를 선택한 것은 국제 쌀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여서 종량세보다 종가세 방식이 국내 쌀 시장을 보호하는 데 유리해져서다. 지난해 말 기준 미국 쌀 ㎏당 781원에 400%의 관세율을 적용하면 3905원이 된다. 종량세로 ㎏당 3124원을 적용하면 3905원으로 같다.
그러나 미국 쌀값이 1.5배로 올라 1172원이 됐다고 치자. 종가세를 적용하면 한국으로 수입되는 미국 쌀 가격은 5860원으로 높아진다. 이는 종량세를 적용할 때 4296원에 비해 높다. 국제 쌀값이 오를수록 종가세가 유리해진다.
실제 최근 국제 쌀 가격은 급등하는 추세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중립종 쌀 국제 가격은 지난 1일 t당 1050달러로 지난 1월 초(650달러)에 비해 61.5%, 지난해 7월 초(705달러)에 비해서는 48.9%나 올랐다. 기후 변화, 수요 증가 등의 요인으로 국제 쌀 가격은 앞으로도 계속 오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일본과 대만이 쌀 시장을 개방한 1990년대만 해도 국제 쌀 가격이 높지 않아 종량세를 선택했지만 향후 국제 쌀 가격은 꾸준히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1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가 개최하는 쌀 관세화(쌀 시장 개방) 유예 종료 관련 공청회에서 이해 관계자들의 주장을 최종적으로 수렴한 뒤 이르면 내주, 늦어도 이달 중 쌀 시장 개방 여부를 공표할 예정이다.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7일 국회 업무보고에서 “쌀 관세화 유예를 지속할 경우 의무수입물량이 증가해 결국 우리 쌀 산업에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게 전문가와 정부의 의견”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쌀 관세화를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9월 말까지 수입 쌀에 대한 종가세 방식의 관세율을 산정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출하고, 내년 1월1일부터 쌀 시장을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은 올 연말까지 쌀 관세화 유예를 적용받는다.
■ 종가세
수입가격에 일정 비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 국제 쌀 가격이 ㎏당 100원이고 관세율이 400%라고 가정했을 때 국내에 들어오는 수입 쌀의 최종 가격은 100원에 400원을 더한 500원이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는 가격과 관계없이 쌀 수입 물량에 관세를 부과하는 종량세가 있다. 예컨대 수입하는 쌀 ㎏당 400원의 관세를 부과하는 식이다.
세종=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