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삼성전자, 분기 영업이익 '10조 신화' 불과 1년 … '모바일 황금기' 저무나
입력
수정
10조 영업익 돌파 1년만에 2분기 7조 초반 초라한 성적표
IM부문 2분기 영업익 4조원 초반 부진…비중 50%대로 추락 예상
2분기 '갤럭시S5' 기대치 못미쳐…3분기 '아이폰6'에 고전 전망

8일 올 2분기 잠정 영업이익이 7조2000억 원(매출 52조 원)에 그쳤다는 발표가 나오자 시장에선 '어닝 쇼크(실적 충격)'로 받아들이고 있다. 10조 원이 넘는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지난해 3분기 이후 세 분기 연속 저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특히 올 2분기 실적은 악화 전망 속 수차례 눈높이를 낮췄던 시장 전망치을 밑돌아 실망감을 더 키웠다.실적 악화 충격파가 더 컸던 이유는 2분기에 최대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 5'가 출시됐다는 점이다. 갤럭시S 시리즈는 지난 2년 간 '삼성 스마트폰 성공 신화'를 이끌어온 효자였다.
갤럭시 시리즈가 불티나게 팔리면서 삼성전자는 애플을 제치고 세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지난해 전세계 스마트폰 10대 중 8대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었다. 이중 삼성전자 스마트폰은 65%를 차지했다. 전세계 스마트폰 10대 중 5대는 '삼성'이었다.
삼성전자는 2분기 실적 발표 때 사업부문별 전망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무선사업을 맡고 있는 IM(IT·모바일)부문 영업이익이 약 4조 원에 머물러 실적 부진을 키웠다는 점이 기정사실화하고 있다.IM과 더불어 3대 사업부문인 디바이스솔루션(DS)과 소비자가전(CE)은 대체로 선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모리 사업은 D램 제품이 서버 및 게임기, 그래픽 장비 등 산업제품 수요로 예년보다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브라질 월드컵' 호재로 커브드 TV와 프리미엄 가전 판매는 양호했다는 게 삼성전자 내부 평가다.
결국 2분기 삼성전자 실적 발목을 잡은 것은 IM 부문이다. 삼성전자는 이례적으로 실적 설명자료를 내고 수익성 악화 주 요인을 스마트폰과 태블릿 판매 감소, 스마트폰 재고 감축 차원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이라고 인정했다. 전반적인 모바일 제품 수요 감소와 재고 증가로 마케팅 비용이 예년보다 급증해 실적 악화를 막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2012년 1분기부터 올 1분기까지 2년 동안 삼성전자 전사 영업익에서 IM 부분이 차지한 비율을 보면 더 명확해진다. 2012년 1분기 73%, 2분기 63.93%, 3분기 69.85%, 4분기 61.88%였다. 2012년 연간 IM부문 평균 기여도는 66.85%에 달했다.
지난해엔 1분기 74.14%, 2분기 65.90%, 3분기 65.94%, 4분기는 65.82%였다. 연평균 비율은 67.84%로 1년 전보다 1%포인트 더 높아져 IM 의존도가 더 커졌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연간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전체 실적 70%를 견인한 스마트폰 사업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한데 따른 성과였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실적 발표 당시 전자업체 계절적 비수기였던 점을 감안하면 전체적으로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IM 부문 실적 악화 우려가 매우 컸다.
스마트폰 시장 포화로 전세계 신규 수요가 줄면서 스마트폰 시장 성장세가 사상 처음 꺾인 시기였던 탓이다. 삼성전자의 캐시 카우인 프리미엄 제품 수익성마저 악화되는 상황이었다. 신흥국을 중심으로 값싼 보급형 제품이 인기를 끌면서다.
애플, LG전자, HTC, 노키아 등 전통적 경쟁자뿐 아니라 아마존도 스마트 시장에 뛰어들어 경쟁이 더 심화하고 있다. 레노버, 샤오미 등 중국 업체는 저가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 1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매출 2위(221억4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애플(259억6000만 달러)이 1위, LG전자가 3위(30억5700만 달러), 4위는 일본 소니(25억1800만 달러)였다. 5,6위는 중국 업체 샤오미와 화웨이였다.
올 3분기에 삼성전자가 IM부문 수익성을 높이기 힘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대 경쟁사 애플의 '아이폰6'가 3분기 끝자락인 9월에 출시될 예정이기 때문. 충성도 높은 고객을 중심으로 강력한 대기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애플은 아이폰6부터 전통을 깨고 대화면을 적용한 새로운 세대 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올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가 아이폰6에 대한 기대로 멈춰설 경우 삼성전자의 판매 전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삼성전자의 대응 무기는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상용화한 '갤럭시S 5' 광대역 LTE-A 스마트폰, 전략 태블릿인 '갤럭시탭S', 구글 안드로이드 웨어를 첫 탑재한 '기어 라이브' 스마트워치, 역대 인기작인 노트 시리즈 후속제품 '갤럭시 노트4' 등 4가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모바일 신제품을 통해 올 하반기 무선사업 실적을 중점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김민성 기자 mean@hankyung.com @mean_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