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여파로 소비심리 '직격탄'
입력
수정
지면A5
2분기 성장률 7분기만에 최저기지개를 켜고 있던 한국 경제가 다시 움츠렸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지난 2분기 성장률 0.6%(전기 대비)는 불과 보름 전의 전망치 0.7%에 못 미친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카드가 다시금 거론되고 있다.
민간소비 0.3% 감소…11분기來 가장 저조

세월호 희생자 애도 분위기 속에 기업과 지방자치단체가 각종 행사를 접은 데다 가계도 소비를 줄인 탓이다.
실제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GDP)을 보면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0.1%)이 2008년 4분기(-4.8%) 이후 5년6개월 만에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국내 수요가 상당히 부진했다”며 “따뜻한 날씨로 전기·가스 소비가 줄었고 이동통신사의 영업정지, 금융권의 대규모 감원도 겹쳤다”고 설명했다.
정부소비도 0.4% 늘어나는 데 그쳐 소비 공백을 키웠다. 지난해 2분기 추가경정예산편성과 함께 1.6% 급증하며 경기를 떠받쳤던 것과는 대조된다. 설비투자가 1.3% 증가했지만 1분기(-1.9%) 마이너스를 나타냈던 영향이 컸다.
수출은 전기 대비 1.9% 늘어나 지난해 4분기(1.4%), 올해 1분기(1.5%)의 호조를 이어갔다. 내수로 흔들리는 한국 경제가 수출로 버티는 ‘외화내빈’이 계속됐다.
지난 10일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4.0%에서 3.8%로 내렸지만 이마저도 달성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당장 2분기 성장률이 한은 전망치(0.7%)를 밑돈 것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앞서 경기하방 위험(리스크)을 강조했던 한은엔 기준금리 인하의 명분이 될 수도 있다.
민간연구원의 한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정부는 할 수 있는 재정정책을 이미 총동원했다”며 “한은에 금리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0%대 성장에서 벗어나기 위해 추경을 편성했던 지난해 5월 상황과 ‘판박이’라는 설명이다. 당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정책공조를 내걸고 기준금리를 연 2.5%로 내렸다.
신중론도 있다. 한은이 이날 금융중개지원대출을 3조원 증액하기로 한 만큼 추가적인 부양 카드는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유미/마지혜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