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인재포럼] 소외계층 고용하는 포스코·CJ…기업들 "통합과 성장 함께 달성"
입력
수정
지면A13
창간 50주년 - 글로벌 인재포럼 2014 (11월4~6일)“아메리카노 1500원입니다.”
(5) '사회 통합' 힘쓰는 기업들
기업들 "미래 위한 투자"
포스코, 다문화가정 여성 채용…CJ, 장애인·장년층 고용 늘려
인재포럼 '고용 창출' 세션
청년·경력단절여성 일자리 논의…"갈등비용 줄면 GDP 20% 상승"
28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 4층에 있는 ‘카페오아시아’에서 바리스타로 일하고 있는 마조리 에반젤리스타 씨(26)는 서툰 한국말이지만 친절하게 손님을 맞이했다. 카페오아시아는 포스코와 사회적 기업 지원기관인 세스넷이 다문화가정 여성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만든 커피전문점이다. 2009년 필리핀에서 결혼이주여성으로 한국에 온 에반젤리스타 씨는 이곳에서 5개월째 바리스타로 일하고 있다. 그는 “처음에는 한국말을 잘하지 못해 직장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며 “바리스타로 일하기 시작하면서 생활비를 보태고 고국에 계신 부모님께 용돈도 보낼 수 있어서 좋다”며 웃었다.국내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으로 사회 통합에 앞장서고 있다. 다문화가정 여성뿐 아니라 저소득층,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등 상대적으로 소외된 계층을 채용하고 교육해 이들이 경제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통합의 경제 효과’를 만들어낸다는 평가다.
바리스타에서 플로리스트까지
포스코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일자리를 만드는 데 적극 나서고 있다. 다문화 여성들은 부족한 한국어 실력과 사회적 편견 때문에 서비스 직종에서 일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카페오아시아의 14개 매장에는 현재 29명의 이주 여성이 바리스타로 일하고 있다. 올해 안에 16개 매장을 추가로 열어 30여명의 다문화가정 여성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대졸 신입사원을 선발할 때도 전체 채용인원의 20%를 저소득층과 다문화가정 출신 자녀로 뽑는다.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코휴먼스는 장애인을 고용하고도 최근 3년간 2배 이상 성장하는 등 ‘통합과 성장’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잠재 능력이 있지만 주어진 조건 탓에 기회를 놓칠 뻔한 인재를 선발하는 것은 회사 차원에서도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설명했다.
삼성그룹 역시 충북 음성 등에 ‘글로벌 투게더’라는 사회적 기업을 만들어 이주 여성들이 바리스타, 플로리스트 등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인턴십 아닌 ‘리턴십’… 경단녀에게 일자리
과거에는 기업들이 평판을 위해 의무적으로 소외계층을 고용했다면 최근에는 자발적인 채용이 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이 CJ다. CJ는 국내 대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돕기 위한 인턴제도인 ‘CJ리턴십’을 만들었다. 출산과 육아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에게 일자리를 제공해 이들의 사회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초과 근무를 최소화하고 퇴근 시간을 보장하는 ‘리턴십 케어 시스템’도 도입해 여성들이 가정과 일을 균형 있게 돌볼 수 있도록 했다. 올 상반기 기준으로 230여명의 경력단절여성이 CJ그룹 계열사에서 근무하고 있다.
CJ는 계열사별로 특성에 맞게 사회적 배려 계층을 고용한다. 빕스, 투썸플레이스 등 외식업체를 운영하는 CJ푸드빌에는 발달장애인, 청각장애인 등 장애인 직원이 대거 근무한다. 회사별로 의무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해야 하지만, CJ푸드빌의 장애인 직원 비율은 의무고용률(2.7%)의 두 배가 넘는 5.69%에 달한다. 근무시간, 급여 및 복리 후생도 비장애인과 차별 없이 보장하고 있다.CJ푸드빌 관계자는 “장애 특성상 단순한 업무를 주로 하지만 비장애인들보다 집중력이 높아 빠른 시간 동안 일의 성과를 낸다”며 “손에 익은 업무는 누구보다 열심히 수행하는 등 성실한 게 강점”이라고 전했다.
CJ대한통운은 2007년부터 노인 인력을 택배 배송원으로 고용하는 등 노령층을 적극 채용하고 있다. 현재 360여명인 노인 직원을 향후 100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 밖에 현대자동차, SK, LG전자 등 대기업들은 채용 과정에서 사회적 배려 계층에 우대를 해주고 있다.
통합만 잘해도 “최대 246조원 경제효과”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소외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기대할 수 있는 경제적·사회적 효과가 크다고 입을 모은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역이나 세대 간 갈등 등 사회 갈등 수준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으로만 끌어내려도 국내총생산(GDP)의 7~21%를 늘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소 82조원에서 최대 246조원 규모다.
글로벌 인재포럼에서는 다양한 계층의 일자리 확대를 통한 사회 통합과 경제 성장의 관계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된다. 11월6일 ‘모든 세대가 공감하는 일자리 창출’ 세션에서는 청년과 장년층세대의 일자리를 고루 창출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방안’ 세션에서는 결혼과 육아 때문에 일을 그만둔 여성 인력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한다.장대철 KAIST 경영대학 교수는 “소외계층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일자리를 마련해주는 것”이라며 “기업들이 사회 통합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추세가 확대되면 국가 경제가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 또한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미현/이유정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