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된 장년 기술자는 회사의 큰 자산…모시고 가야죠"

100세 시대, 일자리가 복지다 (3) 장년이 살아야 기업도 산다

車정비기기 제조社 헤스본
생산직 30% 정년후 재고용
헤스본의 최고령 근로자인 전경률 씨(73·왼쪽)가 신입 직원과 함께 정비용 리프트 조립을 하고 있다. 백승현 기자
“숙련 기술자는 회사의 가장 큰 자산입니다. 장년 근로자들을 짊어지고 가는 것이 아니라 회사가 그 분들을 붙잡아 모셔두는 거예요.”

인천대교가 눈앞에 보이는 인천시 서구 경서동에 있는 자동차 정비기기 제조업체인 헤스본에는 특이한 취업규칙이 있다. 근로자의 정년과 관련해 ‘정년 후 10년+5년 고용연장이 가능하며, 근로자의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 근로할 수 있다’는 것이다.1991년 설립된 이 회사는 정비용 리프트 기기와 휠얼라인먼트, 타이어 탈착기, 타이어 휠 밸런스 조정 장치, 오토미션오일 교환기 분야에서 국내 시장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회사의 근로자 수는 120여명, 이 가운데 50세 이상은 43명이다. 정년(만 56세)을 마치고 재고용된 근로자만 26명, 생산직 근로자가 90명인 것을 감안하면 세 명 중 한 명이 만 56세 이상이다. 2012년에만 무려 11명이 정년 후 재고용됐다.

이 회사의 제품 생산방식은 ‘셀(cell) 시스템’으로 하나의 공간에서 두세 명이 조를 이뤄 부품 제작에서 완제품까지 생산의 전 공정이 이뤄진다. 따라서 근로자의 숙련도가 높지 않으면 생산 시간은 자연히 길어지고, 제품의 완성도는 떨어지게 마련이다. 조장현 인사팀장은 1일 “60대 이상 근로자가 많은 이유는 그들의 숙련도가 높기 때문”이라며 “정년이 됐다고 그 분들은 내보내고 신규 인력을 뽑으면 업무를 이해시키는 데만 6개월 이상이 걸린다”고 말했다.300여개의 부품을 생산하는 리프트 준비작업실에서 근무하는 전경률 씨(73)는 이 회사의 최고령 근로자다. 이미 정년을 마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얼핏 봐서는 50대 중반으로 착각할 정도였다. 전씨는 “무엇보다 이 나이에, 아침에 일어나 나갈 직장이 있다는 게 얼마나 삶의 활력소가 되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최근 특성화·마이스터고 출신의 젊은 직원 채용을 늘리고 있다. 2012년 30세 미만 근로자를 14명 채용한 데 이어 현재도 채용 절차를 밟고 있다. 조 팀장은 “정년 없이 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엔지니어로서 성장할 수 있는 비전을 보고 지원하는 젊은이가 많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2008년 정년 연장과 함께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만 6년이 되는 올해 말 정부의 임금피크제 지원은 끝이 난다. 조 팀장은 “정부의 정년 연장 정책을 임금피크제 지원 외에 장년 근로자들이 편하게 일할 수 있는 시설 지원 등으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천=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