銀 DLS 투자자 '노심초사'

기존 상품 손실구간 진입
원금 날릴 우려 커져
은값이 온스당 35달러에 달했던 2012년 9월, 은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월지급식 파생결합증권(DLS)에 5000만원을 투자한 김모씨는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은값이 계약시점의 55%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매달 받아오던 이자가 끊겼기 때문이다. 김씨는 끊어진 이자보다 원금이 더 걱정이다. 만기 때까지 은값이 55% 선을 회복하지 못하면 은값이 떨어진 비율만큼 원금을 날리게 된다.

원자재 급락의 최대 피해자는 은 DLS 투자자들이다. 국제 은 시세가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온스당 18달러 밑으로 떨어지면서 원금 손실 위험에 내몰린 상품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뉴욕 상품거래소 기준 은값은 전 거래일보다 0.46% 떨어진 17달러70센트다.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2012년 상품 투자자들이 문제다. 당시 은값은 온스당 26.66~35.66달러. DLS들이 손실구간을 ‘계약시점 은값의 55~60% 이하’로 잡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때 팔린 상품 대부분이 위기 상황에 놓인 셈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2012년 판매된 은 DLS는 원금보장형 상품 9768억원어치를 포함, 총 1조4196억원어치다. 전문가들은 2011년 말과 2013년 초 판매분까지 계산하면 5000억원어치 상품이 원금 손실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원금보장상품 투자자라고 은값 하락에서 자유로운 게 아니다. 3년 가까이 자금이 묶여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원금만 받게 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중호 동양증권 연구원은 “손실구간에 진입하기 직전인 은 DLS 투자자들은 수수료를 내더라도 중도 환매하는 게 나을 수 있다”며 “한 번 손실구간에 진입하면 DLS 평가액이 뚝 떨어진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