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원룸, 보증금 15% 정도 더 받아
입력
수정
지면B11
Real Estate

주택임대 전문업체 렌트라이프가 국토교통부에서 공개한 서울 지역의 1~7월 거래된 연립·다세대주택의 거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올해 입주한 원룸(전용 30㎡ 이하)의 환산 전세가는 7702만원으로 이전 3년간 입주한 단지들 평균(6803만원)보다 약 900만원 높았다. 투룸(전용 30㎡ 초과~60㎡ 이하)의 환산 전세가는 올해 입주한 주택이 1억2928만원으로 이전 3년간 입주한 주택의 환산 전세가(1억1193만원)보다 1735만원 높았다.올해 입주한 주택의 월세를 보면 원룸은 42만9000원이었다. 작년 입주한 주택 월세(45만2000원)와 비슷했다. 보증금은 올해 입주물량이 3400만원으로 작년 입주 주택보다 1000만원 높았다.
올해 입주한 투룸의 월세는 57만8000원으로 지난해 입주주택 월세(59만원)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올해 입주 투룸의 보증금은 7153만원으로 3년 내 신축한 주택 평균인 1543만원보다 올라갔다.
올해 지어진 원룸의 크기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신축된 원룸의 평균 임대면적은 20.3㎡로 최근 3년간 공급된 주택면적 18.7㎡보다 넓었다.
김혜연 렌트라이프 대표는 “초소형 주택의 공급 과잉으로 공실 우려가 커지자 집주인들이 원룸의 크기를 넓히거나 투룸을 섞어 짓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