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엔 800원 시대, 대비하고 있나

지난주 원·엔 환율이 100엔당 950원대로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은 엔저가 점점 감내하기 힘든 수준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2012년 1월 100엔당 1488원, 2013년 1월 1196원, 올 1월 1024원으로 2년 넘게 속락하고 있는 원·엔 환율은 기업들의 내성조차 이제 바닥을 드러내게 하고 있다. 올초 전경련이 316개 대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전망한 올해 평균 원·엔 환율은 1058.33원이었다. 그러나 실제 1~9월 평균은 1013.73원이었는데 이는 조사기업들이 전망한 손익분기 환율(1044.2원)보다 30원 이상 낮은 것이다.

원화가치가 10% 상승할 때 국내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은 0.41%포인트 감소한다는 통계가 있다. 현대·기아차의 2분기 영업이익이 13% 줄어드는 등 수출업체 채산성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 게 단적인 예다. 북미시장에서는 엔저 여파로 올 상반기 현대의 쏘나타 가격이 도요타 캠리보다 더 비싸졌다. 무역협회 조사 결과 유럽 수출단가도 한국 제품이 일본의 같은 제품에 비해 7%가량 높게 나왔다. 지난주 한국은행이 발표한 2분기 상장기업 경영분석에서 매출 증가율이 4년9개월 만에 최저치인 2.9%에 그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전기전자(-9.6%) 조선(-8.7%) 등의 수출이 줄어든 것이 매출에 직격탄이 됐다.

문제는 엔저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영국 더 뱅커지 선정 세계 30대 은행 중 원·엔 환율 전망치를 내놓은 8개 은행의 내년 3분기 평균치는 100엔당 887원이었다. 미국이 양적 완화를 끝내더라도 일본은 계속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 한국의 불황형 경상흑자로 원화는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1년 뒤 환율이 이런 수준이 된다면 내년도 성장률은 4%대는 고사하고 3%대도 위협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수출상위 100대 품목 중 55개가 겹친다고 한다. 수출이 무너지면 아무리 내수를 살려도 소용이 없다. 환율 안정은 한국은행만의 임무가 아니다. 정부도 거시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