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무역, 베트남 '두 번째 기회의 땅'…목표가↑"-신영
입력
수정
신영증권은 6일 영원무역이 3분기 수직계열화를 통해 높은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6만8000원에서 7만5000원으로 올려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서정연 연구원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7.1%, 9.4% 증가한 3889억 원, 828억 원에 이를 것"이라며 "매출 성장 대비 이익 성장폭이 높은 이유는 수직통합 진행에 따른 원가율 개선, 해외 종속법인들의 생산성 향상에 따른 판관비 효율 개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서 연구원은 특히 베트남 공장이 수직통합의 교두보 역할을 맡아 영원무역 성장을 이끌고 있단 점에 주목했다.
영원무역은 현재 베트남에 5개의 생산법인을 운영 중이다. 하노이에서 약 1시간 30분 거리에 위치한 남딘 지역에 3개의 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박장과 흥옌 지역에 각각 1개씩의
법인을 위성 공장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영원무역 전체 인력 약 7만 여명 중 베트남에서는 9500여명 남짓 인력이 생산에 투입되고 있다.서 연구원은 "베트남 공장은 제직, 편성, 염색 등 소재 생산을 위한 최첨단 설비를 가동 중"이라며 "이는 기술집약적 설비사업이기에 북부의 인력난을 극복하고, 방글라데시 대비 비싼 베트남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탁월한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남딘 법인은 상반기에만 10%에 가까운 순이익률을 달성했다"며 "수직통합을 위한 소재 생산설비까지 투자함으로써 베트남은 영원무역에게 두 번째 기회의 땅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
서정연 연구원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7.1%, 9.4% 증가한 3889억 원, 828억 원에 이를 것"이라며 "매출 성장 대비 이익 성장폭이 높은 이유는 수직통합 진행에 따른 원가율 개선, 해외 종속법인들의 생산성 향상에 따른 판관비 효율 개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서 연구원은 특히 베트남 공장이 수직통합의 교두보 역할을 맡아 영원무역 성장을 이끌고 있단 점에 주목했다.
영원무역은 현재 베트남에 5개의 생산법인을 운영 중이다. 하노이에서 약 1시간 30분 거리에 위치한 남딘 지역에 3개의 법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박장과 흥옌 지역에 각각 1개씩의
법인을 위성 공장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영원무역 전체 인력 약 7만 여명 중 베트남에서는 9500여명 남짓 인력이 생산에 투입되고 있다.서 연구원은 "베트남 공장은 제직, 편성, 염색 등 소재 생산을 위한 최첨단 설비를 가동 중"이라며 "이는 기술집약적 설비사업이기에 북부의 인력난을 극복하고, 방글라데시 대비 비싼 베트남의 인건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탁월한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남딘 법인은 상반기에만 10%에 가까운 순이익률을 달성했다"며 "수직통합을 위한 소재 생산설비까지 투자함으로써 베트남은 영원무역에게 두 번째 기회의 땅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