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엇갈리는 전기트랙터] 전기트랙터 국산화했는데…"친환경 기술" vs "전력 과소비" 논란
입력
수정
지면A3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전기로 움직이는 트랙터가 국내에서 처음 개발됐다. 국내 농기계 1위 기업인 대동공업은 29일 충남 천안삼거리공원에서 열린 ‘2014 대한민국 국제농기계자재박람회’에서 두 개의 전기 모터에서 35마력의 힘을 내는 전기트랙터를 선보였다. 대동공업은 2016년부터 이 제품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매연·소음 없어…상업용으로도 활용 가능"
"농업 전기료, 가정용의 3분의 1…남용 불러"
◆국책과제로 전기트랙터 개발경유 엔진과 전기 모터를 함께 단 하이브리드 트랙터가 시장에 나온 적은 있지만 순수 전기트랙터를 선보인 기업은 대동공업이 처음이다. 전기트랙터는 정부(지식경제부) 정책과제로 대동공업이 2011년부터 올해까지 약 4년간 50억원가량을 지원받아 연구개발(R&D)해 내놓은 제품이다. 청소나 제설 등 도심 또는 상업용으로도 쓸 수 있게 디자인했다. 무선조종이 가능해 사람이 트랙터에 올라타지 않고서도 작업할 수 있다.
곽상철 대동공업 사장은 “매연과 소음에 민감한 하우스 작물을 기르는 농가나 축산 농가 등에서 전기트랙터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값싼 농업용 전기 사용농가에서 이용할 전기트랙터는 농업용 전기를 쓰기 때문에 전기료가 싸다. 농업용 전기요금은 ㎾h당 평균 45.51원으로 일반 가정용(127.02원)의 3분의 1 수준이다. 산업용이나 교육용을 포함한 전체 전기요금 평균(106.33원)과 비교해도 절반에 못 미친다.
값비싼 배터리에 대한 별도의 정부 보조금도 기대할 수 있다. 대동공업은 전기트랙터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했다. 배터리의 높은 가격 때문에 트랙터 가격이 올라가는 부분에 대해 대동공업은 정부에 보조금 지원을 요청한 상태다. 전기트랙터를 쓰면 농가에 지급되는 면세유가 줄어들기 때문에 보조금으로 줄 여력이 생긴다는 것이다. 현재 농가에서는 일반 기름값에 비해 약 40% 저렴한 면세유를 쓰고 있다.
◆“국가적으론 손해” 지적도전기트랙터 출시에 대한 업계의 시각은 엇갈린다. “소음이나 매연 때문에 트랙터를 쓰는 게 부담이 됐던 기관이나 기업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긍정적인 목소리가 있는 반면 “농가 소득을 보전해 주기 위해 주는 낮은 전기요금 혜택이 엉뚱한데 쓰이는 것 아니냐”고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이번 박람회에 참가한 한 농기계업체 관계자는 “전기를 만들기 위해 화석연료를 쓰고 있는데, 이걸 다시 트랙터 동력원으로 쓰면 경유 엔진을 사용하는 것보다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전기를 쓰는 농기계가 많아지면 농가가 부담하는 비용이 줄어들 수 있겠지만 전기를 값싸게 공급해야 하는 한국전력과 정부는 큰 손해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전기료가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원자력 발전 비중이 높기 때문인데,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추가적인 원전 건설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강원 삼척시는 주민들의 반대 여론을 근거로 청와대와 국회 등에 ‘원전 건설 백지화’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천안=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