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섬 잡화 브랜드 '덱케', 이탈리아 장인도 놀란 무당벌레 문양 핸드백…중국·유럽 女心 잡는다
입력
수정
지면A23
Life & Style



“‘인연’을 뜻하는 무당벌레(레이디버그)는 덱케의 로고이기도 합니다. 무당벌레는 알고 보면 굉장히 많은 색과 문양을 가진 곤충인데 사람들은 보통 빨간 바탕에 까만 점만 생각합니다. 무당벌레를 연상시키되 색상은 블랙 앤드 화이트로 깔끔하게 표현한 게 바로 베이스 도트백, 즉 레이디버그 백입니다.”
덱케의 가방 제품은 특수 피혁으로 만든 프레스티지(100만~300만원대), 양가죽과 송아지 가죽으로 만든 빈티지(50만~100만원대), 자체 개발한 독특한 문양을 사용한 레이디버그(30만~60만원대) 등 3개 라인으로 구성됐다. 디자인팀도 레이디버그 팀, 프레스티지·빈티지 팀 두 개로 나눴다.
덱케는 가방 외에 △주얼리 △가죽 소품 △디퓨저 및 향초 등도 제작하고 있다. 힙합 프로듀서 DJ 소울스케이프가 엄선한 편집 음반도 선보였다. 디퓨저와 향초로는 ‘덱케의 향’을, 편집 음반으로는 ‘덱케의 음악’을 소비자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해서다. 단순한 잡화 브랜드가 아니라 미디어 아트,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과 협업하는 융합형 브랜드를 추구한다.지난 3월 한섬의 편집매장인 톰그레이하운드 파리점에 입점, 서울과 파리에서 동시에 론칭한 것도 이 같은 융합 작업의 일환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톰그레이하운드 파리점을 통해 유럽 시장, 중국 해외 직구 사이트 콰징통몰(www.kuajingtong.com) 및 공식 온라인몰 더덱케닷컴(thedecke.com)을 통해 중화권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한다. “소개팅할 때 첫 만남이 중요할까요, 두 번째 만남이 중요할까요. 첫 만남에서는 다음 만남을 기약할 수 있어요. 하지만 그 사람을 사귈지 말지는 두 번째 만남에서 결정합니다. 덱케에 2015년은 소비자들이 덱케와 사귈지 말지 결정할 중요한 해입니다. 안심해서도 안 되고 기존 디자인을 재탕해서도 안 됩니다.”
김선주 기자 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