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억 전문 펀드 조성…스포츠산업 생태계 초석 다질 것"

김종 문체부 2차관이 말하는 대한민국 스포츠산업
“투자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산업적 토대를 튼실히 만들기 위한 발판이 되기 때문이죠. 정부도 내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예산 200억원에 민간 참여 200억원을 더해 400억원 이상 규모의 스포츠산업 펀드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스포츠 융·복합 연구개발(R&D)을 늘려 스포츠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데 주력하겠습니다.”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은 지난 14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김 차관은 “영세성을 극복할 투자환경 조성이 시급하다.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스포츠산업이 미미한 정부 지원과 인식 부족 등으로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올해를 스포츠산업 기반을 닦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했는데, 어떤 성과가 있었나.

“크고 작은 관련 업체와 학계 등 최대한 많은 관계자들과의 소통을 위해 간담회와 콘퍼런스 등을 늘렸다. 산업과 시장의 답은 현장에 있다는 생각에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무엇보다 스포츠산업의 파이를 키우고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 스포츠산업 업체 융자 활성화를 위해 연 4%(고정금리)였던 이율을 공적자금 수준인 연 2.77%(변동금리, 4분기 기준)로 낮췄다. 또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스포츠산업진흥법’ 전면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스포츠산업의 투자 환경이 10년 전 영화산업을 보듯 답답하다는 업계의 지적이 많다. 전문 펀드 운용 계획은.“스포츠산업계에는 우수한 기술력과 아이디어는 있지만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4인 이하 업체가 대다수다.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민간 투자 환경을 확대하려면 공적자금 기반의 펀드 운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펀드 조성을 위해 내년도 정부 예산 200억원도 편성한 상태다. 정부의 시도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9년 ‘스포츠산업 모태펀드 운용방안에 대한 연구’ 등을 시작으로 수차례 전문펀드 조성을 시도했지만 예산 확보 문제로 번번이 무산됐다. 무역수지 적자와 거대해지는 세계 스포츠산업 시장의 추세 등으로 볼 때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될 상황이다.”

▷스포츠산업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국내 스포츠산업은 이제 막 발을 뗀 걸음마 수준이다. 스포츠는 다른 산업에 비해 경제적 파급 효과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데 반해 기업 생산성과 시장 경쟁력, 소비 환경 등은 취약한 실정이다. 정부도 지원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대기업의 인식도 중요하다. 스포츠 분야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기술 기업과 창조형 기업, 융·복합 기업 등이 많다. 이런 중소기업들은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 세계적인 서비스로 도약할 수 있는 사업적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스포츠산업 기반을 선진국 모방형에서 신시장 선도형으로 바꾸기 위한 방안은.

“미국, 독일, 영국 등 전통적인 스포츠산업 강국에선 스포츠용품업이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프로 스포츠를 비롯한 참여와 관람 스포츠의 서비스업이 균형 있게 발전하면서 시장 규모가 커지고 고용 창출로도 이어지고 있다. 후발주자인 한국이 기존 스포츠용품의 세계시장에서 성공하려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스포츠산업 강국들의 용품과 서비스업의 동반 성장을 벤치마킹하는 한편 우리의 강점인 정보기술(IT)·관광 콘텐츠 등과 스포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야 한다.”

▷향후 정부의 스포츠산업 육성 초점은 어디에 있나.“스포츠산업의 바탕은 ‘학교, 생활, 프로’ 세 축이다. 학교체육, 생활스포츠, 프로스포츠 활성화가 바탕이 돼야 한다. 이를 통해 스포츠 참여 및 관람을 촉진해 시장을 확대해 갈 계획이다. 아울러 IT를 비롯해 산업 발전의 기반이 되는 ‘스포츠 융·복합 기술’ 등 스포츠 강소기업을 발굴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전문인력 양성에도 힘을 쓸 예정이다.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글=서화동·유정우 기자 seeyou@hankyung.com
사진=진연수 한경닷컴 기자 fireboy@hankyui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