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눈앞에 둔 한국, 60세 이상 통계는 '걸음마'
입력
수정
지면A8
현장에서
마지혜 경제부 기자 looky@hankyung.com

65세든 70세든 80세든 법률적으로는 똑같은 노인이라도 소득 수준이나 지출 규모 등은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소일거리나마 할 수 있고 건강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65세와 상대적으로 병원을 더 자주 찾고 일하기 힘든 80세는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60대는 의류나 교통·통신, 문화·오락 등에 쓰는 돈이 70대 이상에 비해서는 많을 것이 분명하다.하지만 통계청에서는 70대, 80대 등 상세한 통계는 제공하지 않는다. 통계청의 대표적 조사인 가계동향조사의 경우 소득이나 소비지출 등을 ‘가구주 연령별’로 39세 이하,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등으로 나눈다. 60세 이상은 더 이상 세분화되지 않는다. 가계금융·복지조사도 마찬가지다. 자산 및 부채 현황 등을 ‘가구주 연령계층별’로 조회하면 ‘60세 이상’이 끝이다. 60세가 70대, 80대 등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세분화된 자료는 찾을 수가 없다.
한국보다 고령화를 먼저 겪은 일본과 독일은 훨씬 더 정교하게 통계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총무성의 가계조사는 60~69세, 70세 이상까지 구분한다. 독일 연방통계청의 가계소득 및 소비조사는 더 치밀하다. 70~80세, 80세 이상까지 구분한다. 그 결과 일본의 경우 연령별 전체 평균을 100%로 할 때 가구당 가처분소득이 60대에서 81%, 70대 이상에선 73%로 줄어든다는 점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통계청 측은 “고령층을 더 세분화하는 방안을 공론화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한국은 2026년이면 인구 20%가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접어든다. 이제 통계도 ‘노후대비’를 해야 할 때다.
마지혜 경제부 기자 loo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