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특별감찰관후보자 선정 난항

여야가 대통령 친인척 관리를 위한 특별감찰관 후보자 선정 논의에 들어갔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 하고 난항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9일 국회에서 특별감찰관후보자추천위원회를 열고 장기 표류해 온 특별감찰관 후보자 선정 논의를 시작했지만 추후 논의키로 결정했다.새정치연합은 이날 회의에서 기존 민경한, 임수빈 변호사 등 두 명의 후보를 재추천했고, 새누리당이 이석수, 정연복 변호사 등 새로운 후보 2명을 제시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이장우 새누리당 의원은 회의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4명 가운데 3명을 추려야 하기 때문에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며 "야당 추천 후보군에 포함된 민 변호사는 새누리당이 인정 할 수 없다는 입장이 확고하고 야당은 여당 추천인사에 대해선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야당 추천 후보군에 포함된 민 변호사는 새누리당이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당시 시국선언에 참여했다는 이유 등을 들어 반대해 온 인물이다.여야는 되도록 이른 시일 안에 총 3명의 후보자를 인선, 조속히 특감제가 시행되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앞서 국회 특별감찰관후보추천위는 지난 7월 민경한 변호사, 임수빈 변호사, 조균석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 3명의 후보를 추천하기로 했지만 조 교수가 후보직을 사퇴하고 새누리당이 야당몫 민 변호사의 경력을 문제 삼으며 임명 절차가 중단됐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특별감찰관제는 대통령 친인척과 측근 비리를 막기 위해 별도 감찰관을 임명, 대통령의 배우자 및 4촌 이내의 친족, 대통령 비서실의 수석비서관 이상의 공무원을 감찰하는 제도다.지난 6월 관련법이 발효됐으나 후보자 임명이 늦어지는 가운데 청와대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이 불거져 만시지탄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국회에서 3명의 후보자 추천이 완료되면 대통령이 그 중 한 명을 지명, 국회 인사청문을 거쳐 정식 감찰관에 임명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