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갈 길 먼 중견기업연합회
입력
수정
지면A20
중견련 법정단체 전환에도강호갑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이 며칠 전 과로로 입원했다. 그는 병상에 있느라 자신이 주최한 출입기자들의 기자간담회(12일)에도 참석하지 못했다. ‘말술’ ‘강철 체력’으로 유명한 강 회장이지만 지난해 2월 취임한 이후 쉴새 없이 달려온 것이 무리가 됐다는 게 주변의 설명이다.
회원사는 513개서 제자리
"中企와 밥그릇싸움" 비판
김정은 중소기업부 기자
중견련은 세간의 관심조차 받지 못하던 단체였다. 중견기업으로 구성된 경제단체로 1992년 ‘한국경제인동우회’라는 이름으로 설립됐다. 이후 1995년 통상산업부(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사단법인 인가를 받은 뒤 1998년 한국중견기업연합회로 명칭을 바꿨다. 중견기업은 사람들에게 ‘중소기업과 대기업 사이에 위치한 기업’이라는 막연한 개념으로 알려져 있었다.중견련이 갑자기 주목받게 된 건 지난해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면서부터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 화두인 창조경제 실현에 중견기업의 역할이 언급되기 시작했다. 강 회장의 튀는 행동도 일조했다. 강 회장은 동반성장위원회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발표에 반발해 취임도 하기 전에 동반위를 항의 방문했고, 정부의 가업승계 대책에 항의하며 “이럴 바엔 차라리 정부가 기업들 다 가져가라”라는 등의 발언도 쏟아냈다. 성과도 있었다.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중견기업 특별법) 국회 통과, 중견련 법정단체 전환, 중견기업연구원 출범 등 굵직한 사안이 해결된 것.
하지만 중견련의 앞날이 밝지만은 않다는 시각이 많다. 가장 큰 문제는 세 불리기다. 국내 3846개(중소기업청 조사) 중견기업 중 회원사는 513개뿐이다. 법정단체 지위를 얻었지만 턱없이 부족한 회원사 때문에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반원익 중견련 부회장은 “회비를 내면서까지 가입할 필요가 있느냐는 인식이 많다”며 “회원사가 되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늘려 정체 상태인 회원 수를 두 배 이상으로 불릴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기업들의 반응은 여전히 시원치 않다.
얼마 전 국회에서 가업승계 때 세제혜택을 확대하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안’이 부결되면서 중견련의 명문장수기업 정책에 빨간불이 켜진 것도 악재다. 중소기업중앙회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다른 경제단체와의 관계도 풀어가야 할 과제다. 중기중앙회와는 장수기업 인증업무 및 중소기업 범위 지정 등을 놓고, 전경련과는 회원사 유치를 둘러싸고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한 중소기업 대표는 “공동조달 시장에서 중소기업이 갖고 있는 몫을 떼어 달라고 하는 등 지금처럼 밥그릇 챙기기로 일관해 갈등을 유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상황이 열악한 중소기업과 경쟁하기보다는 중견기업만의 역할을 대변하는 단체가 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정은 중소기업부 기자 likesmile@hankyung.com